친박 "정치 근간 흔드나" 비박 "안심번호 오해 풀려"
홍문종 “김무성, 사실상 사과” vs 김무성 “누가 그런 소릴”
“나라의 근간을 뒤흔드는 문제”(윤상현 의원)
“공천권 국민께 돌려주자는 시대에 맞는 말”(이재오 의원)
새누리당이 30일 오후 ‘안심번호 도입 국민공천제’와 ‘농어촌 지역구 축소 문제’에 대한 의원총회를 열었다. 의총은 ‘안심번호 도입 국민공천제’에 대한 친박계 의원들의 ‘정치 근간을 흔드는 행동’이라는 비난과 비박계 의원들의 ‘설명을 듣고 나니 이해 된다’는 수긍의 반응이 대립했다.
이날 의총은 원유철 원내대표와 이학재 정개특위 여당 간사의 공개발언 이후 바로 비공개로 전환됐다. 이후 비공개 모두발언에서 김 대표는 “청와대가 지적한 다섯 가지 중 한 가지만 맞고 나머지는 틀렸다”는 뉘앙스로 이날 오전 ‘안심번호 도입 국민공천제’와 관련한 청와대의 주장을 정면반박 했다.
특히 김 대표는 의총 마무리 발언에서도 “청와대 관계자가 당 대표를 모욕하면 되겠느냐”며 “오늘까지만 참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청와대 고위 관계자가 이날 오전 ‘추석회동’을 비난한 것에 대한 불편한 기색을 여과 없이 드러냈다.
그러나 김 대표의 이러한 엄포·소신발언과는 상관없이 친박계 의원들은 여전히 ‘추석회동’에 대한 비판적인 주장을 쏟아내며 김 대표와의 대립각을 세웠다. 친박계 의원들은 이날 의총 중간마다 나와 ‘할 말’을 하고 다시 의총장으로 들어갔다.
친박계인 김태흠 의원은 이날 비공개 의총 전환 후 한 시간 만에 의총장을 나와 “소수가 공천권을 행사하며 전횡하는 부분을 막겠다고 해서 시작된 것이면 그 부분만 고쳐야지, 정당의 길을 포기하고 정당정치를 포기하는 이런 형태의 공천룰은 동의할 수 없다”고 반대의 뜻을 밝혔다.
청와대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 역시 “한 정당의 헌법기관 후보자를 여론조사 방식으로 뽑겠다는 나라가 세상에 어디 있냐”면서 “나라의 근간을 뒤흔드는 생각해볼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여론조사를 법제화하겠다는 것은 인기투표를 법제화 하겠다는 것”이라며 “대통령도 국무총리도 여론조사 방식으로 뽑을 것이냐”고 반문했다. ‘안심번호 도입 국민공천제’를 비난한 것이다.
이어 “휴대폰 공천제라는 것은 어떻게 보면 19대 총선에서 친노몰이용 공천룰이 다시 재포장된 것인데 실패한 친노의 룰을 우리가 다시 사용한다는 것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볼 문제”라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또한 여야가 불공정한 게임으로 총선을 치르게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여당은 전부 여론조사를 하고 야당은 20% 지역에 전략공천을 하게 되면 여당은 일방적인 수비자가 되고 야당은 일방적인 공격자가 된다”면서 “우리 내부의 토론도 있기 전에 당 바깥에서 다른 당 대표와 합의를 했다는 것은 통상적인 상황이 아니다”고 말해 김 대표와 문 대표의 ‘추석합의’ 자체를 문제 삼았다.
반면에 비박계 의원들은 ‘안심번호 도입 국민공천제’에 대해 의총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용태 의원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안심번호에 대한 오해가 상당부분 풀렸다”면서 “특히 김 대표가 ‘안심번호 도입 국민공천제’를 일방적으로 추진하지 않았느냐는 오해가 있었는데, 그것도 정문헌 정개특위 전 간사나 홍문표 사무부총장이 이끌고 있는 공천심사TF에서 이미 나왔던 내용(으로 급조된 것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그동안 전혀 언론에 노출되지 않은 점에 대해서도 “야당과의 협상전략상의 문제였다고 황진하 사무총장이 직접 나와서 이야기했다”고 의총 상황을 전했다.
친이계 이재오 의원도 “의총장에서 반대라는 사람, 좋다는 사람 다 있지만 안심번호를 몰랐던 의원들이 알게 된 것은 사실”이라며 “공천권을 행사하면 안 된다며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자는 것에 대해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공천권을 국민께 돌려주자는 것은 시대에 맞는 이야기”라고 말해 김 대표의 주장에 힘을 보탰다. 그는 친박계에서 주장하는 ‘김무성 책임론’에 대해서도 “공천룰이 확정된 것도 아니고 진행 중인데 김 대표가 책임질 일도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친박계와 김 대표 간 대립각의 방점은 친박계 홍문종 의원이 찍었다. 홍 의원은 의총 중간 기자들과 만나 “내가 들어갔을 때는 안심번호에 문제가 많다는 이야기가 많았다”면서 “지금 현재로서는 김 대표가 사과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해 김 대표가 청와대와의 대립에서 물러섰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하지만 이후 기자들과 만난 김 대표는 이에 대해 질문하자 “어떤 놈이 그런 표현을 했느냐”면서 황당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어 “내가 사과했는지 다른 의원들에게 물어보라”며 어이 없어 했다. 친박계와 김 대표가 문제에 대해 전혀 다른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난 셈이다.
이날 의총은 공천룰과 관련한 당의 특별 기구를 만들어서 새롭게 논의하기로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현실적으로 새정치민주연합이 참여하지 않는 상황에서 미국식 오픈 프라이머리 제도는 못 한다”고 인정하면서 “공천권을 국민께 돌려드린다는 원칙하에 새로운 공천제도를 만들 것이고 이를 위해 (기구에) 안심번호 도입이나 국민공천제 역시 포함해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