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으로 짐싸는 대한항공·아시아나 조종사
국내보다 2~3배 높은 연봉 및 복지혜택 제시
월 평균 근무시간 제주항공, 대한항공, 에어부산 순
최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항공사가 한국인 조종사에게 파격적인 조건을 내세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1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상희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는 지난 2013년 26명에서 지난해 27명, 올해 42명(7월 말까지)으로 급증했다.
상황은 아시아나항공도 마찬가지다. 지난 2013년 24명, 2014년 31명이다. 올해는 7월까지 29명으로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내국인 조종사의 근속연수는 각각 16년, 14.1년이다.
대한항공·아시아나를 비롯한 5개 국적 저비용항공사 전체 수치로 보면 한국인 조종사 퇴사자는 2013년 111명, 2014년 155명, 올해 1∼7월 138명을 기록했다.
퇴사한 한국인 조종사 대부분 중국행을 선택하고 있다.
대한항공 경력 15년 기장의 평균 연봉 실수령액은 1억5000만원 안팎이다. 반면 중국 항공사들은 연봉 2억∼3억원 이상, 최근에는 4억원대를 보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 항공사 측의 세금 부담과 주택, 자녀 교육지원 등 복지혜택으로 실제 한국에서 일하는 것보다 2∼3배 더 많이 챙길 수 있다.
내국인 조종사의 월평균 비행 근무시간을 보면 △제주항공이 72시간2분으로 가장 길다. 이어 장거리 노선이 많은 △대한항공이 63시간54분이다. △에어부산은 62시간59분 △아시아나 58시간 △티웨이 57시간40분 △이스타 56시간28분 △진에어 50시간54분 순이다.
김상희 의원은 "숙련된 조종사 한 명을 양성하는데 상당히 오랜 시간과 재원이 투입되는 만큼 국외로 인력유출이 더 심화하지 않도록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