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역사 교과서 국정화, 아직 결정된 게 없다"
"추석 전 발표" 일부 보도 대한 입장, 교육계 중심으로 반발 확산
청와대는 9일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확정하고 추석 전에 발표키로 했다는 일부 보도와 관련해 "결정된 게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이처럼 밝히고 "이런 (발표) 일정이 준비되고 있다는 부분에 대해 질문했을 때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한 언론은 이날 청와대와 교육부가 최근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내부적으로 확정하고 추석 전 이를 발표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현재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와 관련해 정치권에서도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민주화 및 현대사에 대해 국민들에 통합된 역사관을 정립시키자는 취지'라는 입장이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정부·여당의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에 전면대응키로 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지난 7월 "좌파세력이 학생들에게 부정적 역사관을 심어주고 있어 역사 교과서를 국정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 추진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지난 4일 "국정 역사교과서는 결코 찬성할 수 없다"며 "역사교과서에 권력이 개입돼 정권이 바뀔 때마다 교과서가 바뀌는 일은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현재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움직임에 교육계를 중심으로 반발이 확산되고 있는 상태다. 서울·경기 등 10개 시도 교육감은 8일 공동으로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여기에 서울대 역사 관련 교수 34명과 초·중·고교 역사 교사 2000여명이 최근 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