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사이라서...' 현대기아차 설계도면 중국 유출
이메일, 메신저 통해 부품 설계도면 등 현대기아차 영업비밀 입수
대가성 금품 오간 사실 확인되지 않아
국내 한 자동차 설계용역업체를 통해 현대기아차 설계도면이 중국으로 유출된 사실이 확인됐다.
17일 경찰에 따르면 현대·기아자동차의 설계도면 등 영업비밀을 유출·사용한 혐의(부정경쟁 방지 및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로 김모(34)씨 등 2명이 구속되고 백모(34)씨 등 20명이 불구속 입건됐다.
현대기아차 협력업체 A사에서 퇴사한 김 씨는 한 자동차 설계용역업체에 입사했다. 이후 김 씨는 지난해 3월부터 7개월간 다른 설계업체 B사에 파견 근무했다. B사는 당시 중국 내 5위권인 한 자동차 제조사의 신차 개발사업을 수주한 상황이었다.
이 기간 김 씨는 과거 자신이 근무한 직장 동료 9명에게 이메일과 메신저 등을 통해 부품 설계도면 등 현대기아차의 영업비밀 130여건을 입수해 업무에 활용했다.
현대기아차그룹은 협력업체 보안감사 과정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경찰은 도면 유출 과정에서 대가성 금품이 오갔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했지만 관련 증거를 찾지 못했다. 단순 친분관계로 영업비밀이 오갔다는 얘기다.
아울러 도면은 버젓이 용역업체 내부 전산망에도 게재된 것으로 파악됐다.
B사의 설계용역업체 C사 대표 곽모(53·구속)씨는 지난해 2월부터 10월까지 자신이 가지고 있던 현대기아차 설계도면 등 영업비밀 70여건을 B사의 내부 전산망에 올렸다. B사의 내부 전산망은 중국 신차 개발사업 담당자도 확인할 수 있게 돼 있다.
유출된 영업비밀에는 현대기아차에서 개발 중이던 신차를 비롯해 수십개 차종의 설계도면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대기아차의 영업비밀을 활용해 중국서 실제 차량이 생산됐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경찰은 전했다.
현대기아차는 도면이 생산에 사용됐다고 가정했을 때 지난 2014년을 기점으로 3년간 영업상 피해액이 7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