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메르스 의료기관 내 감염...지역사회 전파 아니다"
병원 공개 요구에 "문제가 된 병원은 폐쇄"
"나머지 병원은 현재 메르스 환자를 잘 격리 치료하는 곳"
청와대는 3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감염 확산과 관련해 "현재 메르스 확진환자가 30명에 이르게 된 원인은 의료기관내 감염으로 지역 사회에 전파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최원영 청와대 고용복지수석비서관은 이날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확진환자, 접촉자 및 의심 환자들에 대해 물샐틈없이 끝까지 추적해 촘촘히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대책방향"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이날 열린 메르스 대응 민관 합동 긴급점검회의에 참석한 전문가 3명은 모두 "현 메르스 상황에 대해 아직 무차별 지역사회 전파가 아니라 의료기관내 감염이므로 필요 이상으로 동요하거나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공통된 의견을 밝혔다.
최 수석은 아울러 "가장 많은 확진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에서 초기 감염확산 고리를 끊지 못한 것이 가장 뼈아픈 부분"이라며 "정확한 경위 등 사례분석 결과를 타 의료기관과 공유해 유사 대응실패가 없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또 의심환자, 확진환자에 대한 통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 지역별 거점중심병원을 지정해 운영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아울러 의료기관 내원후 확진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을 최대한 단축하고 일단 확진되면 이들을 더 철저히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최 수석은 특히 "국민불안을 해소히가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의 투명한 공개에 있으므로 가능한 한 공개할 수 있는 정보는 즉시 투명하게 공개하도록 해야한다고 대통령께서 특히 강조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메르스 관련 병원을 공개하는 것과 관련해서 청와대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처음에 문제가 됐던 병원은 현재 폐쇄된 상태이고 나머지 병원은 메르스를 전파하는 곳이 아니라 메르스 환자를 안전하게 격리해 치료하고 있는 병원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청와대는 "메르스 확산 방지 및 방역 대응을 위해 복지부 질병관리본부장과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종합대응 컨트롤타워를 구축 운영한다"고 밝혔다.
청와대에 따르면 종합대응 컨트롤타워에는 민간 전문가로 박상근 대한병원협회장, 김우주 대한감염학회 이사장,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과장, 오명돈 서울대 교수, 최보율 한양대 교수 등이 참여한다.
또한 정부는 범정부 차원의 체계적 지원을 위해 국민안전처, 보건복지부, 외교부, 행정자치부, 교육부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 메르스 대책 지원본부'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