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한중일 3국, 북한 비핵화 진전 함께 노력해야"
중·일 외교장관 접견… 한반도 통일에 관심·지지 당부
박근혜 대통령은 21일 "북핵 문제 해결은 안정적 남북관계 발전은 물론 동북아 정세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서 한중일 3국이 지혜를 모아 북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제7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청와대 전했다.
박 대통령은 또 "한반도 평화통일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와 세계 평화·번영에도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면서 이를 위한 세 나라간 협력과 일·중 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올해 광복 70주년과 종전 70년을 맞아 남북관계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아무런 전제조건 없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것을 북한 측에 제안하고 있다"며 "북한이 진정성 있는 대화와 변화의 길로 들어선다면 모든 협력의 길을 열어놓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또 "한·일·중 3국은 동북아 지역의 핵심 파트너로 경제적 상호의존이 심화되고 있지만, 실질협력은 정체되고 있어 안타깝다"면서 "지난 3년간은 동북아 신뢰구축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됐다. 동북아에서 신뢰구축이 이뤄진다면 3국 협력의 비약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기를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2013년 취임 이후 일본 정부와 정치권의 과거사 왜곡 문제로 장기간 경색돼왔던 한·일 관계 개선 의지를 거듭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이번 3국 외교장관회의는 양자 관계에 어려움이 있더라도 다자 협력 메커니즘이 통해, 대화와 협력을 가능토록 해주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이런 견지에서 우리 정부가 제안해 추진 중인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역내 국가 간 갈등요인 해소는 물론, 원자력안전, 재난관리, 환경, 에너지 문제 등 초국가적 위협 요인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기시다 외무상과 왕 부장에게 "한·일·중 3국 협력관계의 복원과 발전을 위해 노력해줄 것"을 거듭 당부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기시다 일본 외무상은 박 대통령에게 아베 신조 일본 총리로부터의 안부 인사와 한·중·일 3국 협력에 대한 기대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역사적 교류가 깊은 3국 간 협력관계의 발전을 진심으로 희망한다"고 밝혔다.
기시다 외무상은 이어 "북핵문제, 평화통일,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등 (한국의) 다양한 노력에 진심으로 경의를 표한다"며 "종전 70주년, 유엔 창설 70주년, 한·일 수교 50주년인 금년을 보다 의미 있는 해로 만들기 위해 한·일·중 3국 정상회의 개최가 중요하다. 3국 정상회의의 조기 개최를 위한 이해와 협력을 요청한다"고도 말했다.
중국의 왕 부장도 박 대통령에게 시진핑 국가주석의 안부 인사를 전하면서 "그간 중·일, 한·일 간의 어려움 외에 3국 협력도 어려움을 겪어 왔는데, 박 대통령의 지도력 아래 개최된 이번 3국 외교장관회의가 3국 간 협력을 위한 새로운 시작이 되길 바란다. 3국 협력의 불안정 요소를 극복하기 위한 타당한 노력을 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이어 "(한국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일관되게 지지한다"면서 "종전 70주년인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한반도가 여전히 분단돼 있어 참으로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 중국정부는 남북관계, 한반도 긴장완화, 지역평화에 유익한 모든 이니셔티브를 지지하고, 지역 평화 수호를 위한 건설적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