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방통위, 위치기반서비스 사업 진입규제 '완화'


입력 2015.01.13 15:05 수정 2015.01.13 15:09        장봄이 기자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사회안전망 확충 기여

긴급구조 위한 가족관계 확인 절차 간소화

ⓒ방송통신위원회

앞으로 개인위치정보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는 별도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지난 12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고 13일 밝혔다.

현행법상 위치정보를 수집·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방통위에 위치정보사업 허가 및 위치기반서비스사업 신고를 해야 한다. 그러나 위치정보가 사람에 대한 것인지 여부와 관계없이 허가·신고를 하도록 돼 있어 과도한 규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사물인터넷 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개인위치정보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위치기반서비스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에 대한 신고 의무가 폐지됐다.

다만 이용자 보호를 위해 위치정보에 대한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직무상 알게 된 위치정보 누설 금지, 자료제출 요구 등의 규정은 준용해 최소한의 관리·감독은 유지토록 했다.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가 개인위치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매회 개인위치정보주체에게 즉시 통보해야 하는 의무도 완화된다.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가 개인위치정보주체의 동의를 받은 경우에는 30일 범위 내에서 모아 통보 할 수 있다.

한편 현행법상 개인위치정보주체의 배우자, 2촌 이내의 친족 등 긴급구조 요청이 있는 경우 긴급구조기관은 긴급구조 상황 여부를 판단해 이동통신사와 같은 위치정보사업자에게 개인위치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긴급구조기관이 법원행정처에 가족관계 등록전산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최성준 방송통신위원장은 "위치정보법 개정으로 사물인터넷 등 위치정보를 이용한 신산업 활성화 기반을 조성하고, 긴급구조 상황에서 위치정보를 신속히 제공받아 골든타임을 단축할 수 있는 사회 안전망이 구축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위치정보 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과 개인·위치정보 보호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봄이 기자 (bom224@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장봄이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