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국민 눈높이' 총리, 정국 안정화 늦어질 듯
총리 후보자 지명 8일 이후 가능 전망, 내각 개편까지 7월 중순은 가야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총리 후보자로 "국가 개혁의 적임자로 국민들께서 요구하고 있는 분"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 개혁을 잘 이끌 수 있는 인물이면서 청문회 통과가 무난하고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도덕성을 갖춘 사람을 찾고 있다는 것.
박 대통령이 열심히 찾고 있다고는 했지만 이러한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을 찾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이 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사람을 찾으려면 박 대통령의 인재 풀을 최대한 활용해야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안대희 총리 후보자 사퇴로 촉발된 인사 참극이 이후 개각 시기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때문에 총리 임명 등 박근혜 정부가 다시 제자리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총리 후보자를 발표한다고 해도 물리적으로 오는 4일 지방선거 이후에나 가능하다. 여기에 6일부터 곧바로 현충일 연휴가 시작되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총리 후보자 지명이 빨라야 8일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구나 총리 후보자를 지명했다고 총리 임명이 순조로울지는 미지수다. 인사청문회법상 국회는 총리 후보자가 내정되고 임명동의안이 청와대에서 넘어오면 인사청문특별위원회를 구성해 20일 이내 청문절차를 마치도록 돼 있다.
그러나 여야는 현재 정부조직법 개정과 세월호 국정조사 등 민감한 현안을 눈앞에 두고 있어 여야간 힘겨루기가 시작되면 예정된 시간 내에 총리 임명동의안이 처리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은 이 때문에 이날 정의화 국회의장을 만나 정부조직법 등 현안 법안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당부하기도 했고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꾸준히 강조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새 총리 후보자가 큰 결격 사유가 없고 국회 일정도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물리적 시간인 20일을 포함해 최소 6월말은 돼야 총리가 공식 임명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여기에 박 대통령이 새 총리의 제청을 받아 중폭 이상의 내각을 교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때문에 최소 7월 중순은 돼야 총리를 비롯해 내각이 다시 제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개각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그 다음은 청와대 비서실 개편이 남아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여름 휴가를 마치고 청와대 비서진을 전격 교체한 바 있다. 이번에도 그쯤 청와대 개편이 이뤄질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 청와대 비서진들 중 일부가 내각으로 갈 수 있다는 말들이 나오면서 청와대 비서진 개편도 개각과 함께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