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거티브도 효과적인 전략이지만 도 넘으면..."
가족 선거활동 여부와 논문표절 놓고 공방전 과열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 "오히려 본인에 부정적 영향"
6.4 지방선거가 일주일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일부 광역단체장 선거구에서 네거티브 공방이 과열되고 있다. 특정 지역에서는 도 넘은 비방전으로 정책선거가 실종돼 유권자들의 시야가 혼탁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지역은 서울이다.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측 전지명 대변인은 지난 24일 “항간에는 박 후보가 부인을 꽁꽁 감추고 있다는 소리도 있다”면서 박원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의 부인인 강난희 씨의 잠적설과 출국설을 제기했다. 전 대변인은 박 후보가 직접 나서 부인을 둘러싼 의혹에 답할 것을 촉구했다.
이에 박 후보는 지난 25일 기자회견을 열어 “가족을 음해와 흑백선전으로부터 지키는 것은 가장으로서 최소한의 의무이며 정치인으로서 책임이다”라면서 “오늘 이후로 벌어지는 흑색선전에 대해 당사자와 유포자에게 가능한 모든 법적, 정치적, 사회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정 후보는 “(박 후보가) 3년 전 ‘나경원 후보 1억 원짜리 피부과’ 네거티브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며 네거티브의 장본인으로 박 후보를 지목했다.
하지만 얼마 못가 새정치연합 측도 네거티브전에 가세했다. 박 후보는 당초 정 후보 측에 ‘네거티브 없는 선거’를 제안했었다.
허영일 새정치연합 부대변인은 27일 논평에서 “1992년 정주영 현대 명예회장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을 때, 변중석 여사는 무엇을 했는지 궁금하다”면서 “공식적인 석상에 나온 것을 본 적은 없는 것 같다. 내 기억이 틀릴 수도 있으니, 정몽준 후보가 확인해줬으면 좋겠다”고 맞불을 놨다.
문제는 네거티브 공방이 거세지면서 선거의 본질적 의미가 퇴색한다는 점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인터넷 상에서 유포되고 있는 박 후보의 부인 강 씨의 성형중독설과 허위사실로 판명된 아들 주신 씨의 병역비리 의혹이다. 서울시장의 자질과 상관없는 가족의 신변잡기가 이어지면서 정책과 공약 등은 유권자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있다.
정 후보도 선거운동개시 직전, 공약보다는 아들의 ‘국민 미개’ 발언과 부인 김영명 씨의 사전선거운동 논란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정작 본인을 소개하고, 정책을 알릴 기회를 잃었다.
강원과 부산 등 다른 선거구에서도 네거티브를 활용한 선거전이 확산되는 추세다. 강원도지사와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하는 새누리당 후보 측 캠프 관계자들은 최문순 새정치연합 후보(강원)와 오거돈 무소속 후보(부산)를 상대로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논문 표절 여부를 심사하는 데에는 최소 수개월이 소요돼, 의혹이 허위사실이라고 해도 지방선거 전에는 확인이 어렵다. 의혹 자체가 네거티브, 마타도어(흑색선전)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오 후보 측은 논문 표절 의혹을 보도한 매체의 대표 등 4명을 허위사실 공표죄 및 명예훼손 등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또 새정치연합의 우상호·진선미 의원은 최홍집 새누리당 강원도지사 후보를 상대로 석사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면서 ‘표절 네거티브’에 합류했다.
이와 관련, 이택수 리얼미터 대표는 27일 ‘데일리안’과 전화통화에서 “네거티브가 열세 후보에게는 주목을 끌고 판을 흔든다는 차원에서 효과적일 수 있는데, 전례를 보면 법정에서 허위사실로 밝혀진 경우가 좀 더 많고, 그 과정을 본 유권자는 학습효과가 있어서 선거가 거듭될수록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이 대표는 “정 후보와 박 후보간 공방과 관련해서는 그다지 영향을 못 주고 있다는 게 여론조사 집계에서 나타난다”며 “더욱이 후보자 본인이 직접 네거티브를 언급하면 자신의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현재 성과도 좋지 않고, 큰 영향도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