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신임 총리에 '세대교체' 오세훈이냐 '현장형' 김문수냐


입력 2014.05.21 19:17 수정 2014.05.22 11:52        동성혜 기자/이충재 기자

박 대통령, 이번주 후임 인선 가능성에 하마평 무성

'50대 총리론' 오세훈 부상 '책임형' 김문수 물망

신임 총리로 물망에 오르고 있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사진 왼쪽)과 김문수 경기도 지사.ⓒ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개혁적 성향에 중도층을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젠 세대를 교체해야 한다.”
“이번엔 확실한 권한이 주어진 책임총리여야 한다. 무엇보다 현장을 알아야 한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무총리 인선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정치권 안팎에서는 차기 총리의 ‘자질’을 놓고 책임형, 현장형, 세대교체형 등 여러 갈래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60~70대 인사가 핵심인 박근혜정부에서 총리를 주축으로 ‘세대교체’ 필요성이 거론되고 있어 주목된다. 이른바 ‘50대 총리론’의 대상으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꼽히고 있는 것.

오 전 시장은 젊고 참신한 이미지에다 시장 재직당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로 보수층의 지지를 이끌어낸 바 있다. 6년 간 서울시장의 ‘현장’과 정치적 ‘책임’에서도 합격점이라는 게 여권의 평가다.

여권의 핵심 관계자는 이번 지방선거의 새누리당 후보들의 면면을 먼저 거론했다. 그는 “경기지사에 남경필 후보, 대구시장에 권영진 후보, 제주지사에 원희룡 후보 모두 소장파 출신으로 개혁적 성향에 새누리당의 차세대 주자들”이라며 “오 전 시장은 이들과 함께 한나라당 당시 소장파로 변화를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서울시장을 그만둘 당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로 보수의 아이콘이라 불리기도 했지만 지금의 무상급식 실상을 보면 제대로 실태를 짚은 셈”이라며 “합리적 성품에 국회의원 출신으로 정무적 감각도 뛰어나다”고 평했다. 이른바 ‘정무형’과 ‘합리성’을 모두 갖췄다는 평이다. 아울러 ‘책임 총리’ 부분에서도 자기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책임 총리’와 ‘현장형 총리’를 기준으로 두고서는 김문수 경기도 지사가 거론되고 있다.

여권의 다른 인사는 “신임 총리는 자율성이 보장되고 권한과 책임이 주어진 총리여야 한다”며 “무엇보다 관료주의를 타파하고 이들을 리드할 수 있는 현장형 총리로 적합하다”고 말했다. 현재 총리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인사 가운데 ‘책임’과 ‘현장’을 충족할 수 있는 후보로는 김 지사가 유력하다는 것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관료-법조인 출신이 배제될 것이란 전망도 김 지사의 인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다.

김 지사가 국회의원 시절(15~17대)에도 박 대통령과 정치적 거리를 두고 비주류 노선을 걸어왔고, 차기 유력 대선후보라는 점 역시 차기 총리의 ‘권한’과 ‘자율성’을 살릴 수 있는 요소로 꼽힌다. 여권 인사들은 김 지사가 박 대통령에게 가감 없이 쓴소리를 할 수 있는 인물이라는 점에서 더욱 무게가 실린다고 평가했다. 세월호 참사로 흔들리는 국정을 다잡고 향후 국가개조 작업을 총괄할 수 있는 ‘쓴소리 리더십’을 갖춘 인물을 내각 사령탑으로 앉혀야 한다는 필요성에서다.

이외에도 현재 ‘화합형 총리’로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낸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호남 출신 전윤철 전 감사원장 등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지만, 여권 내에선 “그래도 박 대통령과 호흡할 수 있는 인물”에 방점을 두고 있다.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예고된 총리 인선과 개각 발표의 내용에 따라 흔들릴 ‘표심’에도 주목하고 있다. 인사권이 대통령 고유의 권한이지만, 당 안팎에서 총리 인선을 두고 ‘소리 없는 아우성’을 치는 이유다. 당장 인선 후 시작될 언론의 검증과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인선-검증과정을 지켜보며 신중한 입장을 보일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평소 인사스타일을 깬 ‘깜짝인사’ 발탁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현재 청와대는 3~4명 정도를 후보군에 올려두고 인선을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장무 카이스트 이사장과 대검 중수부 출신의 안대희 대법관,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등이 후보로 거론된다.

정치권 인사로는 김무성, 최경환 의원이 언론에 이름이 오르내리고 정갑영 연세대 총장, 박재규 경남대 총장,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 국민대 교수, 전윤철 전 감사원장, 이강국 전 헌재소장 등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박 대통령이 21일 아랍에미리트(UAE) 실무 방문을 마치고 귀국함에 따라 사의를 표명한 정 총리의 사표를 수리하고 후임 인선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미 청와대는 “총리 인선은 박 대통령이 UAE 실무방문에서 돌아온 뒤에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여권 내에서도 “후임 총리 인선 발표는 이번 주를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총리 인선 후 순차적으로 개각 명단을 발표하는 동시에 청와대 개편작업에도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김기춘 비서실장을 포함한 비서관급 이상이 대상이다. 청와대에도 ‘세대교체’ 바람이 불어 닥칠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1일 CBS라디오에 출연 “국민들이 요구하는 총리는 개혁적이고, 전문성과 화합, 통합을 갖춘 인물이어야 하고, 청문회도 통과해야 한다”며 “국민들로부터 존경을 받고 책임 있게 국정을 끌어가는 총리를 모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장'을 네이버에서 지금 바로 구독해보세요!
동성혜 기자 (jungtu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동성혜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