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KT, 유전체 분야 미래융합 사업 강화


입력 2014.05.15 11:30 수정 2014.05.15 10:47        김영민 기자

서울대학교와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 협력을 위한 협약 체결

KT와 서울대학교는 유전체 분석기술의 발달로 최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유전체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산학 협력을 통한 공동 연구개발을 위해 협약을 체결하고 바이오인포매틱스 센터를 오는 7월까지 공동설립 한다고 15일 밝혔다.

바이오인포매틱스 센터는 서울대 생명공학공동연구원에 설립되며, KT는 유전체 분석을 위한 첨단 ICT 역량을 제공하고, 서울대 생명공학공동연구원은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 연구 공간과 전문 연구인력을 제공해 유전체 분석 핵심솔루션 개발, 유전체 관련 사업발굴을 본격 추진한다.

KT와 서울대는 바이오인포매틱스 센터를 미국의 브로드연구소(Broad Institute)와 같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소로 육성하여 학문적인 선도는 물론 기술기반의 사업화를 통해, 국가 창조경제에도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유전체 분석 기술은 미래 우리 실생활과도 밀접하다. 예를 들어, 특정 암관련 유전체 연구를 통하여 암의 발병 가능성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보다 적극적인 예방활동을 도울 수 있고, 발병 후에도 개인 유전체 특성에 따른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어 생존율을 극적으로 높이게 된다.

또 이런 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이용하게 되면 국내외 어디에서든 자신의 유전 정보를 활용하여 진단 및 치료를 손쉽게 할 수 있어 그 효용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황창규 회장의 취임 후 융합영역에서 미래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ICT와 BT의 융합을 통해 국가 경쟁력, 국민 삶의 질 증진, 그리고 사업적인 성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KT는 앞선 IT 기술을 활용해 대용량 유전체 분석서비스를 상용화하는 등 생명정보분석 발전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 왔다"면서 "서울대학교 BT기술과의 융합으로 우리나라의 유전체 분석과 응용의 실력을 세계 수준으로 끌어 올리고,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해 국가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돼 매우 뜻 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연천 서울대 총장은 "글로벌 수준의 IT 역량과 분석 인프라를 두루 갖춘 KT와 세계적 수준의 생명정보학 교수들이 있는 서울대가 공동연구센터를 설립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이 바이오인포매틱스와 그 응용에서 세계적으로 선도 위치에 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김영민 기자 (mosteve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영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