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의 카드 꺼낸 금감원, '상주검사역제' 시행 검토
금융회사의 크고 작은 금융사고가 잇따르자 금융회사에 대한 상주검사역제도 시행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15일 오전 금감원 회의실에서 시중 은행장들을 긴급 소집해 금융회사의 내부 통제 강화를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최 원장은 연이어 발생한 금융사고를 두고 은행을 향한 국민의 신뢰가 땅에 떨어진데 대해 깊은 우려를 전했다.
은행장들의 직접 나서 내부통제 점검을 해달라는 주문도 곁들였다.
최 원장의 첫마디는 임직원들의 향한 금융사고 책임에 대한 엄포였다.
최 원장은 "내부통제와 소비자 보호에 무관심해 대형 금융사고가 계속 발생하거나 특히 금융사고 은폐나 늑장보고 등 시장과 소비자의 불안을 키울 경우 그 책임을 엄중하게 물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대형 금융사고가 계속 발생한 금융회사에 대해 '상주검사역제도'를 시행하겠다며 경고했다.
상주검사역제도는 금감원의 검사역들을 금융회사에 배치해 내부통제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금융회사 운영의 전반을 직접 살펴보는 제도다.
올해 금감원은 상시감시체계를 운영해 종합검사를 줄이고 부실위험과 사고징후가 조기에 포착될 경우 부문 및 테마검사를 확대하는 검사 방향을 확정했다.
상주검사역제도는 실제 시행한 적은 없다. 그간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 KT ENS 협력업체 부실대출, 도쿄지점 불법대출, 한화생명 직원 비리 늑장대응 등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자 몇차례 내부 회의를 통해 검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인력 구성이라던지 금융회사의 업무 부담 등을 고려해 고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