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홈쇼핑 비리' 검찰·공정위·미래부 동시 '주목', 업계 긴장


입력 2014.04.13 16:25 수정 2014.04.13 16:34        김해원 기자

검찰·공정위·미래부 홈쇼핑 비리 조사

비리 홈쇼핑 채널 재승인 심사까지, 업계 '긴장'

롯데홈쇼핑을 시작으로 연이어 터져나오는 홈쇼핑 납품 비리 의혹으로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가 롯데홈쇼핑 납품비리에 대해 조사를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 조사에 대해 롯데홈쇼핑은 "정식 통보를 받은 적 없다"고 일축했다.

또한 미래창조과학부까지 납품 비리 의혹이 있는 홈쇼핑 채널에 대해 재승인 심사 시 불이익을 주는 방침을 고려하고 있다. 검찰에 이어 공정위, 미래부까지 홈쇼핑 업계 비리에 '칼'을 댄 것이다

남품업자들로부터 뒷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 롯데홈쇼핑 임직원들은 다음주 초부터 순차적으로 검찰에 기소될 예정이다. 또 신헌 롯데쇼핑 사장도 조만간 검찰에 소환될 방침이다.

홈쇼핑업계의 비리가 연일 언론에 조명되자 업계는 그야말로 '피바람'이 불고 있다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홈쇼핑 비리는 앞서도 논란이 됐지만 이번에 제대로 터졌다는 반응"이라며 "향후 더 적발될 업체들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래부까지 공공성과 공정성을 저해한 '납품 비리' 홈쇼핑 채널에 대해 재승인 심사 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히자 업계는 더욱 긴장하고 있다.

미래부는 내년 5월 롯데홈쇼핑에 대한 재승인 심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불공정 행위가 사실로 드러나면 롯데홈쇼핑은 재승인 심사에서 벌점을 받게 된다.

한편, 롯데홈쇼핑은 간부의 절반 정도가 납품 비리에 연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신 사장이 롯데홈쇼핑 사장으로 재직하던 시기에 임직원들의 금품수수와 상납이 집중됐던 것으로 파악하고 압수수색과 관계자 조사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다수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미 롯데홈쇼핑 임원 5명을 구속했고 또 다른 임원이 뒷돈을 받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홈쇼핑 소속 MD들은 납품업체로부터 뒷돈을 받는 대가로 유리한 시간대에 방송을 배정해준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홈쇼핑에 이어 NS홈쇼핑도 '뒷돈 의혹'에 휘말렸다. 검찰은 지난 10일 NS홈쇼핑 구매담당자(MD)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5200여만원 상당의 뒷돈을 전달한 혐의(배임증재 등)로 건강식품 개발업체 N사 문모 대표와 홈쇼핑 판매업무 총괄 최모 전 상무를 불구속기소했다.

검찰에 따르면, 문 씨 등은 2009년부터 2012년 6월까지 NS홈쇼핑을 통해 판매되는 자사 제품이 '황금시간대'에 판매될 수 있도록 NS홈쇼핑 전 MD 전모 씨에게 뒷돈을 건네고 내부 정보를 빼낸 것으로 밝혀졌다.

김해원 기자 (lemir0505@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해원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