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생명연장’ 맨유, 뮌헨 원정 기대되는 이유


입력 2014.04.02 06:41 수정 2014.04.02 10:11        데일리안 스포츠 = 김윤일 기자

극단적인 수비 위주 전략으로 1차전 무승부

슈바인슈타이거 퇴장으로 고민 깊어진 뮌헨

슈바인슈타이거의 퇴장은 2차전의 변수가 될 전망이다. ⓒ 게티이미지

절대열세가 점쳐졌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하 맨유)가 의도대로 1차전을 마쳤다.

맨유는 2일(이하 한국시각), 올드 트래포드에서 열린 ‘2013-14 UEFA 챔피언스리그’ 바이에른 뮌헨(이하 뮌헨)과의 8강 홈 1차전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맨유는 후반 12분 코너킥 상황에서 수비수 네마냐 비디치의 벼락같은 헤딩 선제골로 앞서나갔지만, 9분 뒤 바스티안 슈바인슈타이거에게 동점골을 얻어맞으며 혹시나 했던 승리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이제 양 팀은 오는 10일 뮌헨의 홈에서 2차전을 치른다. 원정골을 성공시킨 데다 안방에서 극강을 모습을 보이고 있는 뮌헨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맨유 입장에서도 4강 진출에 대한 희망의 끈을 놓을 수 없다. 무엇보다 데이비드 모예스 감독의 전략이 모처럼 통했기 때문이다.

이날 4-4-2 포메이션을 들고 나온 맨유는 예상대로 수비 위주의 전술로 맞섰다. 반면, ‘티키타카’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한 뮌헨은 아르연 로번이 맨유 수비진을 마구 쑤시는 가운데 중앙과 측면을 가리지 않는 무차별 공격으로 상대를 몰아세웠다.

전반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압도적인 볼 점유율을 기록한 뮌헨의 대승이 예고됐다. 특히 선취골만 들어간다면 위태로운 맨유 수비진은 그대로 무너질 것만 같았다. 하지만 맨유의 수비수들은 혼연일체가 된 듯 포백라인을 가지런히 유지한 채 두터운 벽으로 공격을 막아냈다.

무리하게 공을 뺏으려 하기보다는 볼의 흐름을 차단하는 지역방어도 돋보였다. 이는 파트리스 에브라(경고누적)와 하파엘(부상)의 공백을 훌륭하게 메운 필 존스와 알렉산더 뷔트너의 몸을 던진 활약이 있기에 가능했다.

맨유 수비가 철옹성과 같은 견고함을 유지하자 오히려 당황한 쪽은 뮌헨이었다. 전반 중반까지 줄기차게 공격만 퍼붓던 뮌헨은 패스의 날카로움이 무뎌지기 시작했고, 점차 볼 소유권을 맨유에 내주기 시작했다.

특히 뮌헨은 이날 두 가지 치명적 약점을 드러내고 말았다.

먼저 선수들은 시즌 내내 상대를 압살했던 자신들의 공격이 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급기야 후반 초반 선취골을 얻어맞자 일부 선수들 표정에서는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그러자 펩 과르디올라 감독은 선수들의 동요를 잠재우기 위해 곧바로 만주키치를 투입, 공격의 변화를 꾀하며 동점에 성공해 세계적 명장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하지만 슈바인슈타이거의 퇴장이라는 변수는 과르디올라 감독의 머릿속을 복잡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팀 전술의 허리와도 같은 슈바인슈타이거는 공격과 수비의 가교 역할을 담당하는 선수다.

현재 팀 상황은 슈바인슈타이거의 공백을 메울 자원이 없다는 점이다. 알칸타라가 슈바인슈타이거의 빈자리를 메울 적임자이지만 하필이면 맨유전을 앞두고 부상을 입었고, 하비 마르티네즈도 경고 누적으로 2차전 결장한다. 토니 크루즈가 있지만 공격에 특화된 선수라 팀의 밸런스 조율을 잘 해낼지 미지수다.

맨유 역시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 이날 모예스 감독 전술의 핵심이었던 마루앙 펠라이니의 부진 때문이다.

로빈 판 페르시가 빠져 장신 공격수가 부족한 맨유의 현 상황에서 펠라이니의 역할은 매우 컸다. 그러나 펠라이니는 공중볼 경합은 물론 볼터치와 패스 등 모든 면에서 실망감을 안겼다. 하지만 존재 자체만으로도 위협이 될 수 있기에 빼고 싶어도 뺄 수 없던 모예스 감독의 고민이 엿보이기도 했다.

2차전 역시 오늘과 같은 양상으로 전개될 가능성이 무척 크다. 오히려 뮌헨이 전반 초반 선보였던 일방적인 공격 흐름이 경기 내내 지속될 수도 있다. 변수는 역시나 선수 구성이다. 뮌헨은 중원이 헐거워진 반면, 맨유는 에브라 등 주축 수비수들의 복귀라는 호재가 있다.

김윤일 기자 (eunic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