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김상곤, 경기도 아이들 정치실험 대상 삼아”
“5년 교육실험 ‘나몰라라’ 정치로 갈아타…경기도민 냉엄한 평가 있을 것”
6.4지방선거의 최대 접전지로 손꼽히는 경기도지사에 출사표를 던진 정병국 새누리당 의원이 “교육을 담당하던 사람들이 우리 아이들을 정치적 실험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12일 YTN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야권 후보로 나선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을 두고 “교육이 백년지대계라고 하는데 단 지난 5년 동안 이것저것 실험을 해놓고 나 몰라라 하는 식으로 정치 쪽으로 갈아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 (전) 교육감이 지난 5년 간 우리 경기도 아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실험을 한 결과, 경기도 학력수준이 더 떨어졌고 사교육비는 오히려 증가했다”며 “이 부분에 대해서 우리 경기도민들이 아주 냉엄한 평가를 해주실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정 의원은 남경필 의원에 대해서 “이제는 나올 사람들 다 나왔고 경선을 당당하고 공명정대하게 하는 길밖에 없다”며 “이제는 1250만 경기도를 누가 이끌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것을 도민들에게 평가받는 일만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남 의원과 관련, 중진차출론을 두고 “차출을 하는 것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한 것이 아니라 방법론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총동원령을 내려 (선거에) 불을 붙여서 국민들의 관심을 유발시키는 것은 좋은 선거 전략인데 좀 더 전략적으로 하게 되면 좋았을 것”이라며 “이미 나서서 뛰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데 기존에 먼저 나선 후보들을 무시하는 방법은 아니라고 이의를 제기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 의원은 원유철 의원, 김영선 전 의원과의 후보단일화 가능성에 “정치공학적으로 단일화하는 것은 굉장히 구태정치 중의 구태정치”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그동안 남원정(남경필·원희룡·정병국)이라고 하는 정치개혁의 닉네임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비원칙이고 야합하는 부분을 배격했기 때문”이라며 “정치공학적으로 유불리하다는 식으로 (따져서) 단일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고 새정치도 아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치공학적으로 선거 때마다 야합을 하고 지금도 선거 앞두고 새로운 정당을 만드니까 (우리가 야당을) 비판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정 의원은 “박심은 없다고 본다”며 박심 논란을 일축했다.
그는 “역대 선거를 보면 늘상 ‘무슨 심이다’고 하는데 그런 심을 팔아서 선거한 예를 못 봤다”며 “현재 일각에서 박심을 팔고 있다고 얘기를 하고 있지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고 이제는 그런 것을 팔면 팔수록 왜소한 후보가 돼서 유권자들로부터 버림 받는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