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금리 인상했지만…여전히 '신흥국 불안' 잔존
"신흥국의 구조적 취약점 개선 상당시간 소요…부실채권, 경기둔화 경계해야"
신흥국들이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금융불안을 어느 정도 진정시켰지만 경기둔화 및 정치적 불확실성 상존으로 여전히 신흥국 불안은 경계해야 할 요소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흥국의 금융지표는 취약국의 금리인상 등과 같은 정책대응으로 호전된 모습을 보였다. 터키의 경우 지난주 7.75%이던 금리를 12%로 올리고 3.5% 수준이던 차입금리는 8%로 대폭 인상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시장의 불안심리가 다소 진정됐다는 평가다.
인도, 남아공도 금리를 인상했고, 조만간 헝가리와 러시아도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중남미·동유럽 등 지표불안이 심했던 국가들의 개선폭이 컸고 반발매수에 다른 기술적 반등 요인도 상당부분 작용했다고 평가했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최근 신흥자산 투매가 과도하다는 시각이 있으나 신흥국의 구조적 취약점 개선은 상당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면서 "미국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가 지속되고 중국 경기둔화가 금년 중 계속 되면서 신흥국 불안이 장기간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외신들은 급작스러운 자본흐름의 중단을 의미하는 '서든스톱' 발생 가능성까지 언급했지만 신흥국들이 금리 인상을 하면서 금융불안을 진정시켰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다만 경기둔화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여전히 신흥국 불안을 경계해야 할 요소로 꼽고 있다.
브라질의 10월 대선, 인도의 5월 총선, 남아공의 올해 상반기 대선, 터키의 8월 대선 등 금년중 굵직한 선거 일정을 앞두고 있고 우크라이나에서 반정부 시위가 발생하는 등 정치적 불확실성과 위험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흥국들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부실채권 증가, 경기둔화 확대 가능성에 대해서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리인상에 따른 가계와 기업 부채상환 부담이 높아지면 자연히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아시아나 중남미 신흥국에 수출을 하던 유럽 선진국에도 신흥국 불안이 전이될 가능성이 높다.
아시아 신흥국에 대한 수출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는 벨기에, 독일, 스위스 네덜란드이고 중남미 신흥국에 대한 수출비중이 높은 국가는 벨기에,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등이다.
국제금융센터 관계자는 "신흥국의 최근 금리인상이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이에 따른 향후 부실채권 증가 및 경기둔화와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 가능성 등이 우려되고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