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부 "북 위협, 이산가족 가슴에 못 박는 행동"


입력 2014.02.06 19:07 수정 2014.02.06 19:14        김수정 기자

북 국방위 "단호한 정책적 결단" 촉구하며 본색 드러내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6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열기로 합의한지 하루 만에 북한 국방위원회가 한미 군사훈련을 중지하라며 행사 이행의 재고를 시사한 것에 대해 “상봉합의는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연합뉴스
정부는 6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열기로 합의한지 하루 만에 북한 국방위원회가 한미 군사훈련을 중지하라며 행사 이행의 재고를 시사한 것에 대해 “상봉합의는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후 북한 국방위원회 정책국 대변인 성명에 대한 정부 입장을 발표하고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한 지 불과 하루 만에 이산가족상봉행사와 전혀 무관한 사안을 들고 나와서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위협하는 것은 다시 한 번 이산가족들의 가슴에 못을 박는 행동”이라고 유감을 표했다.

김 대변인은 이어 “한미합동군사훈련은 방어적 성격의 연례적인 훈련으로서 국제적인 관행과 절차에 따라서 이뤄지는 것으로 이산가족상봉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정부는 북한을 비방중상한 적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 북한이 우리 언론보도를 문제 삼는 것은 우리 당국이 언론을 통제해야 한다는 억지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 “북한은 어제 회담에서는 군사훈련에 대해 아무 말 없이 이산가족 상봉에 합의했는데 이제 와서 이산가족상봉과 군사훈련을 함께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은 온당치 못한 자세”라며 “이 같은 북한의 태도는 이산가족상봉을 내세워 우리의 정당한 군사훈련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군사훈련을 핑계로 이산가족상봉을 무산시키려는 의의로밖에 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북한은 60년 이상을 기다려 온 고령의 이산가족들에게 또 다시 상처를 주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며 “이번 상봉합의는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힌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방위 정책국 대변인은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성명을 내고 “대화와 침략전쟁연습, 화해와 대결소동은 절대로 양립될 수 없다는 것을 명백히 밝힌다”며 “치열한 전쟁마당에서 이뤄진 회담과 대화도 그때에는 불과 불이 오가는 대결행위를 멈추고 진행하는 것이 하나의 관례”라고 주장했다.

정책국 대변인은 성명에서 “남조선 당국은 체질화된 대결 본색을 버리고 민족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단호한 정책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며 “북과 남, 해외의 온겨레는 남조선 당국자들이 반드시 밝혀야 할 입장과 그 결과에 따른 차후 움직임을 예리하게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국 대변인은 또 최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애육원 방문 등을 비난한 남한 언론 보도 등을 언급, “최고 존엄을 헐뜯고 우리의 체제에 대한 비방중상이 계속되는 한 이룩된 합의 이행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만, 북한 국방위가 언급한 합의 이행 사안이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적시되진 않았지만 전날 전격 합의된 이산가족상봉을 겨냥했을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북한은 지난해 이산가족상봉 행사를 4일 앞두고 돌연 일방적으로 취소한 바 있어 이날 국방위 성명과 관련, 향후 북한 행보에 이목이 집중된다.

김수정 기자 (hoho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수정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