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상임이사국 증설반대"밝히자 일본 견제 해석 나와
박근혜 대통령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을 늘리는데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과 관련, 일본의 상임이사국 진출 시도를 견제하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에 정부는 단호하게 아니라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15일 “박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개혁 논의에 대한 우리의 생각과 기준, 입장을 이야기 한 것”이라며 “특정국에 대한 찬반의 표명은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인도 국빈방문을 앞둔 지난 9일 인도 국영TV인 ‘두르다르샨’과의 인터뷰에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지휘 문제와 관련한 한국 정부의 입장을 묻자 “유엔 안보리 개혁은 책임성, 민주성, 대표성, 효율성 이런 것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개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한번의 선거로 영구히 지위를 갖게 되는 상임이사국 자리를 증설하는 것보다 정기적인 선거를 통해 변화하는 국제환경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식의 비상임이사국을 증설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상임이사국 진출을 노리며 상임이사국을 증설하자고 주장해온 일본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 것이다.
한편,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주 아프리카를 방문해 ‘서아프리카 경제공동체’ 11개국 정상과 회담을 갖는 등 새해부터 상임이사국 진출을 노린 본격적인 외교전을 벌이고 있다.
이달 말에는 인도, 6월에는 브라질을 방문하는 등 상임이사국 증설 희망국들과의 협력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멕시코, 이탈리아, 스페인 등 12개국과 함께 상임이사국 증설을 반대하는 중견 국가 그룹인 UFC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