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 여론조사 결과, 철도파업 찬성 39% 반대 61%…세대별로는 견해차 커
철도 노조의 장기파업이 22일 째 접어든 가운데 파업과 관련한 긴급 여론조사 결과, 국민여론은 파업에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자체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 30일 보도한 것에 따르면, 철도 노조의 파업에 대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60.6%, '공감한다’는 답변은 38.8%에 그쳐 파업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반대 의견이 우세했다.
또한 정부의 논리에 대해서도 공감하는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민영화를 않겠다는데 파업하는 건 명백히 불법’이라는 답변이 59%, ‘파업을 즉각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는 의견이 71.8%, ‘엄정한 대처를 통해 법치주의를 세워야 한다’는 답변이 62.5%였다.
정부의 철도 정책적 논리에는 공감했지만 파업과정에서 보여준 정부의 대응과 해결 노력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59.2%로 ‘적절했다’는 답변 40.1% 보다 높았다.
이번 파업의 핵심 쟁점인 철도 민영화 논란과 관련해서는 ‘민영화가 아니라고 본다’는 의견이 47.4%로 ‘민영화라고 본다’는 41.6%의 의견보다 다소 높아, 정부 측 주장이 노조의 주장보다 조금 더 높긴 했지만 팽팽한 견해 차이를 보였다.
이번 철도파업에 대한 세대별 공감여부는 40대~60대의 대다수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한 반면 저연령층과 20대, 30대는 공감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40대 중 60.1%, 50대 연령층 중 80.4%, 60대 이상 연령층 중 90.5%가 파업에 공감하지 않는다고 응답했고, 20대는 66.7%, 30대 64.8%가 공감을 표시해, 2030세대와 4050세대의 세대별 의식이 확연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대학생(69.5%)과 화이트칼라(52.7%) 계층에선 공감한다는 의견이, 자영업자(72.6%)와 가정주부(70.2%)·블루칼라(65.4%) 계층에선 공감하지 않는다는 견해가 우세했다.
파업에 공감한 응답자들은 철도노조가 주장하는 '민영화 반대'를 이유로 꼽았고, 파업에 반대한 사람들은 국민을 이용하고 피해가 커서, 노조의 이익 챙기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7~28일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