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대출 가능" 스마트폰 악성앱 대출사기 주의보
제도권 금융기관 사칭 대출 문자 유인후 악성앱 설치
#L씨는 00캐피탈을 사칭한 사기범으로부터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는 전화를 받았다. 사기범은 본인 인증이 필요하다며 문자로 인터넷 주소를 보냈고 L씨는 해당 주소를 통해 앱을 다운받아 설치한 후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했다. 사기범은 L씨에게 대부업체의 기존 대출금을 상환해야 저금리대출이 가능하다고 했고 L씨는 대출금 산환을 위해 S대부업체의 실제 전화번호로 전화했으나 해당 전화는 S대부업체가 아닌 사기범의 사무실로 연결됐다. 이후 사기범은 S대부 대출심사팀으로 가장하고 L씨에게 계좌번호를 알려주며 대출금을 상환할 것을 안내했다. L씨는 사기범이 알려준 계좌로 총 1000만원을 송금했다. 저금리 대출이 이뤄지지 않자 수상하게 느낀 L씨는 경찰에 신고하고 금감원 불법사금융신고센터로 상담을 요청했다.
금융감독원은 9일 최근 정상적인 전화번호를 입력해도 사기범의 전화로 연결되는 스마트폰 악성앱 설치를 통한 대출사기 사례가 발견돼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사기범은 00캐피탈 등 제도권 금융기관을 사칭해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자나 전화로 유인한 후 대출상담을 위해 전화하는 사람에게 문자로 공인인증서 등을 가장한 인터넷주소를 발송했다.
피해자가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게 되면 스마트폰에 악성앱이 설치돼 금감원, 금융회사 등 공공기관의 정상적인 전화번호를 입력해도 사기범의 전화로 연결된다. 이후 정상적인 기관인 것 처럼 피해자를 속여 대출금 상환이나 각종 수수료 등 명목으로 금전을 갈취하는 수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출이 가능하다는 전화나 문자메시지는 대출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대출 이전에 각종 수수료나 개인정보, 휴대폰, 통장 등 요구하는 경우 절대 응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또한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출처가 불분명한 인터넷주소는 클릭하지 말아야 한다.
스마트폰 보안설정 항목에서 "알수 없는 앱 설치"에 체크를 해제하고 "앱 설치전 확인'을 체크하는 것이 보안에 유리하다.
만일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즉시 112나 은행 콜센터에 송금계좌에 대한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3일 이내에 경찰서가 발급한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첨부해 신고한 은행 영업점에 제출하면 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