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국정원 "검찰 추가 121만건중 112만건은 정치 글 아니다"


입력 2013.11.29 17:38 수정 2013.11.29 17:46        김소정 기자

"국정원 직원이 직접 작성한 글은 590건에 불과"

국가정보원 정치개입 의혹사건과 관련해 법원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의 혐의에 국정원 직원들이 올린 것으로 의심되는 트위터 글 121만건을 추가한 가운데 이중 112만여건은 정치관여나 선거개입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정원은 29일 보도자료를 내고 “검찰의 2차 공소장에 나오는 트위터 글 121만여건과 ID를 확보해 전수 조사한 결과 121만건 중 112만건은 선거개입이나 정치관여와 무관했다”면서 “또 121만건 중 국정원 직원이 직접 작성한 것은 590여건으로 국정원 직원이 리트윗한 것도 아니다”라고 밝혔다.

국정원측은 2차 공소장에 나오는 트위터 글을 분석한 결과 △북한 선동이나 종북세력의 유언비어에 대한 반박 내용이 56만여건(46%) △NLL이나 제주해군기지 등 안보 현안 관련 내용이 23만여건(19%)이라고 설명했다.

또 △사회혼란 선동 반박 글은 20만여건(17%) △우리나라가 성취한 성과나 업적 폄훼에 대한 반론이 13만여건(11%)이라고 한다.

이 밖에 “4000여건은 오히려 야당과 야당후보에 대한 ‘지지글’을 ‘비판’으로, 여당과 여당후보에 대한 ‘비판글’을 ‘지지’로 잘못 분류한 것이었다”는 주장도 펼쳤다.

즉, 야당후보 ‘지지글’을 ‘비판’으로 잘못 분류한 경우가 “文, 파출소 쪽방 돌며 ‘힐링’ 행보”, “文安 경제민주화 등 정책 경쟁 펼쳐”, “文, 새정치 위원회 발족”이라는 것이다. 여당후보 ‘비판글’을 ‘지지’로 잘못 분류한 경우는 “박근혜가 해야 할 일은 어설픈 민주화 타령이 아니다”(RT @Kangjaechon)라고 했다.

그러면서 국정원측은 “검찰이 법원의 요구한 ‘트위터 글을 작성한 구체적 실행 행위자가 누구인지 특정하라’는 요구에 지난 26일 범죄일람표를 수정해 제출했지만 국정원 직원 2~7명의 실명을 기재한 후 ‘해당 글을 쓴 ID를 이들이 공동 사용했다’고만 적시했다”면서 “이는 검찰이 아직도 트위터 글 작성자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소정 기자 (bright@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소정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