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윤병세 장관 "일, 과거사 피해자가 납득할 조치 필요"


입력 2013.09.27 15:07 수정 2013.09.27 15:13        목용재 기자

유엔총회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서 '올바른 역사인식' 재차 강조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뉴욕 유엔총회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일본 정부가 위안부 등 일제 강점기 피해자들에 대한 납득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뉴욕 유엔총회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일본 정부가 위안부 등 일제 강점기 피해자들에 대한 납득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6일(현지시각) 맨해튼 인터컨티넨털호텔에서 열린 이 회담에서 윤병세 장관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대신에게 “한일 양국이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함께 열어갈 동반자가 돼야 하고 이를 위해 과거의 상처를 치유해 나가고자 하는 용기 있는 리더십이 발휘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장관은 “과거사 피해 당사자들이 납득할 수 있는 조치가 하루 속히 이뤄져 이들의 고통과 상처가 치유돼야 한다”면서 “또한 올바른 역사 인식은 한일 관계의 기본 토대이며 역사문제의 본질을 호도하는 어떤 시도도 우리로선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기시다 대신은 “아베 내각도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계승해 나간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 이해와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한국과의 관계를 착실히 발전시켜 나가고 싶다”면서도 위안부 문제와 강제징용자들에 대한 배상문제에 대해 “이미 해결된 일”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했다.

회담에서 윤 장관은 최근 '규슈·야마구치 산업유산'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추천키로 한 일본 정부에 반대의 입장도 전달했다. 일제강점기의 우리 국민들이 강제 징용을 당해 노동을 해야 만했던 규슈와 야마구치의 산업지대는 세계문화유산의 취지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또 윤 장관과 기시다 대신은 한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에 대한 논의도 벌였다. 기시다 대신이 “한국의 일본 후쿠시마 등 8개현의 수산물 수입규제 조치를 조기에 풀어달라”고 요청했지만, 윤 장관은 “원전 오염수 유출 이후 국내의 일본 수산물에 대한 공포심이 확산됐다. 우리는 예방적인 차원에서 불가피한 조치를 취한 것”이라고 답했다.

한일 양국은 북한 문제에 대한 공조를 강화하는 문제에선 입장을 같이했다. 윤 장관과 기시다 대신은 향후 북한이 올바른 선택을 통해 변화할 수 있도록 한일 양국이 북한에 일관된 메시지를 전달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목용재 기자 (morkk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목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