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 이상 성인남녀 1400명 가운데 한국사 수능 필수선택 비율 52.7%
교육부가 2017년 대입 수능시험부터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도입하기로 한 것과 관련, 50대가 가장 적극적으로 찬성한 반면, 40대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지난 12일 실시한 긴급설문에서 19세 이상 성인남녀 1400명 가운데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선택한 비율이 5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학교 내에서 한국사 시험 시행’(19.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결과의 학생부 기재’(17.0%), ‘한국사 표준화시험 시행 후 대입자격 연계’(11.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의 경우 연령대별로 의견 차이가 컸다. 50대의 경우, 58.9%가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선택했고 30대(57.9%), 20대(51.6%)도 과반이 선택했다.
다만, 40대는 47.9%가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선택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른바 ‘학력고사 세대’인 40대의 ‘자녀 시험부담’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