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박원순 "지자체와 협의 안한 '무상보육' 처음부터 무리"


입력 2013.05.10 11:52 수정         김해원 기자

'서울시 보육대란 책임론'에 "새누리당과 정부 사이 의사소통 문제"

박원순 서울시장이 "무상보육이 지자체와 협의도 없이 시작돼 처음부터 무리가 좀 있었다"고 밝혔다. (자료사진)
박원순 서울시장이 "무상보육이 지자체와 협의도 없이 시작돼 처음부터 무리가 좀 있었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10일 MBC 라디오 ‘뉴스의 광장’에 나와 최근 제기된‘서울시 보육대란 책임론’에 대해 "새누리당과 현 정부 사이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이어 "작년 9월 국무총리 주재 시도지사협의회 간담회에서 총리가 직접 지자체의 추가 재정부담을 늘지 않게 하겠다고 약속해 그에 따라 예산을 편성한 것"이라며 "타 지자체는 국고보조율이 50%지만 서울시는 20%밖에 안 돼 올해 확대되는 부담액이 약7000억원"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새누리당에서 저희를 비판하는 근거로 건설사업비와 무상급식 예산에 대해서도 얘기했는데 사실과 다르며 서울시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다 나와있다"고 불편한 감정을 보였다.

전날 신의진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보육대란을 막기 위한 지자체장의 의지가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데 2013년 서울시 예산 상황을 볼 때 과연 서울시가 예산을 편성할 여력이 없었는지 의문스럽다"고 밝혔다.

또한 "5~6월이면 서울시의 무상보육 예산이 바닥난다는데 이는 대부분 시·도가 무상보육 예산을 전체 예산의 70% 수준으로 편성한 것과 달리 서울시는 10% 남짓 편성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민주당원으로 시장 재선에 출마했을 때 유권자들이 민주당이 뭘 했다고 표를 주냐는 반응을 보이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 "지금 민주당원이기 때문에 당원으로서 출마하는 게 당연한 것이고 그 이상으로 정치적 의미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한 "선거를 할 때는 당이 매우 중요하지만 막상 선출되고 나면 당과의 문제보다는 시민과의 관계가 중요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김해원 기자 (lemir0505@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김해원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