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두관, 민주당 대선 경선 거부 선언…"김대중·노무현 정신 저버렸다"


입력 2025.04.14 15:35 수정 2025.04.14 15:45        김은지 기자 (kimej@dailian.co.kr)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 시간 가질 계획"

김동연 지사도 4시 경선룰 입장 발표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이 지난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대선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더불어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대선 출사표를 던졌던 김두관 전 의원이 '일반 국민 50%·권리당원 50%' 당내 경선 규칙에 반발하며 경선 거부를 선언했다. 다만 경선 거부 선언일 뿐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김두관 전 의원은 14일 페이스북에 입장문을 올려 "죄송하고 부끄럽다"면서도 "그렇지만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면목이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나는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계엄과 내란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정리되면 정치가 복원되는 시간을 빨리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민주당은 2002년보다 후퇴했다"고 꼬집었다.


김 전 의원은 "국민을 믿고 유불리를 따지지 않는 것이 노무현 정신이다. 포용과 통합이 김대중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나는 민주당의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서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하는 '완전개방형 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했다. 당 선관위에서는 후보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오픈프라이머리 불가'를 발표했다"고 비판했다.


김 전 의원은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의원총회에서 후보를 뽑겠다고 결정했다'면 차라리 민주당이 더 솔직해졌다고 생각했을 것"이라고 개탄했다.


김 전 의원은 "나는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배제한 민주당 경선 참여를 거부한다"며 "나는 탄핵 이후 새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출마선언을 했다. 제왕적 대통령제인 87년 체제를 유지한 채 취임하는 21대 대통령은 누가 되어도 증오와 분노의 정치를 증폭시키고, 국민주권의 사유화 유혹과 정치폭력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도 "진정 민주당의 미래의 모습이 무엇인지,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이 무엇인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희망을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려고 한다"고 했다.


김 전 의원은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라며 "그리 길지는 않을 것이다. 다시 한번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김 전 의원의 이 같은 경선 거부 선언은 경선 룰에 대한 항의 표시다. 김 전 의원 캠프 측은 "경선 불참이 아닌 거부"라며 "거부는 문제가 있어서 참여하지 않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당원 표심이 많이 반영되는 경선 방식은 이재명 전 대표의 대세만 굳힌다는 점에서 우려를 감추지 못해왔다. 이날 민주당 중앙위원회가 일반 국민 50%·권리당원 50%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확정한 가운데, 또다른 비명계 주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오후 4시 경선룰과 관련한 입장발표를 앞두고 있다. 김 지사가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어떤 거취 표명을 할지를 두고 초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은지 기자 (kimej@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