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일부 장면들이 중국에서 상품 광고에 무단으로 사용되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중국이 나서 집중 단속을 펼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14일 자신의 SNS를 통해 "최근 중국 허베이성 한 마트에서 '폭싹 속았수다' 속 박보검과 아이유 사진을 상품 광고에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네티즌들의 제보로 알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관식이가 관식이가 애순이 옆에서 양배추를 대신 팔아주던 드라마 속 장면을 활용해 '양배추 달아요-양관식'이라는 설명을 달고 이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이용하고 있었다"며 애순이네 완두콩밥 지어보세요', '이 조기 맞아요?' 등 다른 상품에도 초상권이 무단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서는 넷플릭스가 공식 서비스되지 않아 '폭싹 속았수다'를 비롯한 한국 콘텐츠를 합법적으로 시청할 수 없다. 서 교수는 이번 사례에 대해 "중국에서 불법으로 시청한 후 배우들의 초상권을 마음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지금까지 중국은 '오징어 게임', '더 글로리' 등 K-콘텐츠에 등장한 한류 스타들의 초상권을 무단으로 버젓이 사용해 왔고, 더 나아가 짝퉁 상품을 만들어 판매해 자신들의 수익 구조로 삼아왔다. 이러한 행위들이 계속해서 벌어지는 건 중국에서 몰래 훔쳐보고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시인한 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젠 중국 당국이 나서 자국민들의 불법행위에 대한 집중 단속을 펼쳐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조취를 취해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에서는 현지 SNS에서 김선호가 '폭싹 속았수다'에서 보여준 표정을 흉내 내는 챌린지 영상이 확산되고 있으며, 중국 장가계시는 극 중 중년의 애순이 관식에게 "내년에 단풍 보러 장가계 가자"라고 말한 부분에 대해 "드라마에서 장가계를 언급해 줘서 감사하다"며 드라마 제작진과 배우들을 장가계로 초대한 바 있다. 이에 중국 시청자들이 '폭싹 속았수다'를 '도둑 시청' 했다는 논란이 일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