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료용 이미용기기·건강기능식품·가상자산의 4대 포트폴리오 구축
코스닥 상장기업 ㈜코디는 화장품 사업 진출 이후 2024년 지난해 첫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흑자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화장품 사업에 진출한 2016년 이후 처음으로 별도와 연결 모두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을 달성하였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784억원이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 15억 및 6억을 기록하였다. 또한, 별도 기준으로는 608억의 매출 및 30억의 영업이익과 6억의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코디는 화장품·의료용 이미용기기·건강기능식품·가상자산의 4대 포트폴리오 구축을 통해 기업가치를 증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3월 31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신규사업 확장을 위한 정관변경 등의 안건을 승인 받았다.
신규 사업으로 의료용 이미용기기·건기식 사업에 나선다. 미용기기의 경우 올해 중국기업과 합작사(JV)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레이저 미용기기는 나노초(10억초의 1) 또는 피코초(1조초의 1)가 많이 사용되는데 해당 기업은 펨토초(1천조분의 1) 레이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오는 2026년 한국에 조립공장을 설립하고 2028년 국내 판매 시작을 목표로 설정했다. 또한, 모기업인 지피클럽이 보유한 전 세계 유통망을 활용하여 홈 뷰티 디바이스 및 이너뷰티 시장에도 진출할 방침이다.
모기업인 지피클럽 및 자회사인 이노코스텍과 협업을 통해 본업인 화장품 사업 확장에 나설예정이다. 색조화장품 중심 포트폴리오를 기초화장품으로 넓히고 OBM/ODM 사업 확대를 통한 매출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가상자산 투자업을 신사업으로 확장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가 전략적 비축자산으로 지정한 비트코인만을 취득 후 보유하는 사업을 영위할 계획이다.
코디 관계자는 “가상자산 투자업을 하는 기업으로 스트래티지(옛 마이크로스트래티지)를 꼽을 수 있다. 2020년 8월부터 비트코인을 취득하기 시작한 스트래티지는 올해 2월 기준 비트코인 47만여개를 보유하고 있다. 기업가치는 덩달아 상승해 지난해 11월 기준 시가총액은 4년 만에 45배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호텔·레코드 사업을 영위했던 일본 기업 메타플래닛도 비트코인 투자 기업으로 변모했다. 지난해 4월부터 비트코인 투자에 뛰어들었고 1,700여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1만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일본 증시에 상장돼 있는 메타플래닛의 기업가치도 1년여 만에 40배 이상 불어났다. 코디도 발빠른 시장 진출로 기업가치 증대에 공을 들일 계획이다”라고 덧붙였다.
가상자산이 제도권으로 속속 편입되면서 산업으로 커지는 초기 시점인 만큼 시장 확장에 기대를 걸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지난 2월 발표한 ‘법인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상장사를 포함해 3,500개 전문 투자법인의 가상자산 매매가 허용된다.
코디 관계자는 “본업인 화장품 사업 외에 의료용, 미용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가상자산 등의 신사업으로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기업가치 증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