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작년 말 은행 BIS 비율 15.58%…전분기比 0.26%P↓


입력 2025.03.31 06:00 수정 2025.03.31 06:00        황현욱 기자 (wook@dailian.co.kr)

환율 상승 여파 위험가중자산 증가한 탓

지난해 4분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은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늘면서 전분기 말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지난해 4분기 국내 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본비율은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늘면서 전분기 말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31일 공개한 '2024년 말 은행지주회사 및 은행 BIS 기준 자본비율 현황' 잠정치 자료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총자본비율은 15.58%로, 전분기보다 0.26%포인트(p) 하락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3.07%, 기본자본비율은 14.37%로 같은 기간 각각 0.26%p, 0.28%p 상승했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6.77%로 같은 기간 0.03%p 내렸다.


BIS 기준 자본비율은 총자산(위험자산 가중평가)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로, 은행의 재무구조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지난해 말 모든 국내은행의 자본비율은 규제비율을 크게 상회하는 등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5대 금융지주에서는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금융지주(16.43%) ▲신한금융지주(15.79%) ▲우리금융지주(15.71%) ▲하나금융지주(15.59%) ▲농협금융지주(15.37%)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총자본비율 기준으로 KB·씨티·SC제일·카카오가 16.0%를 상회하며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산업은행은 14.0%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보통주자본비율 기준으로는 씨티·SC·카카오·토스 등은 14.0% 이상, KB·하나·신한·수출입·케이 등이 13.0%를 넘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SC·카카오·농협 등 대부분 12개 은행은 전분기 말 대비 보통주자본비율이 하락한 반면, 토스·케이·우리·하나 등 4개 은행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4분기 중 환율 상승으로 위험가중자산이 크게 증가해 전분기 말 대비 하락"했다며 "올해 들어서도 고환율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경기회복 지연, 미국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등으로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도 증가하는 등 자본여력을 계속 제고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금감원은 금융여건 악화시에도 은행이 신용공급 축소 없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보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황현욱 기자 (woo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