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4일 오후 서울에서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가 참석한 가운데 ‘항공안전 혁신 위원회’ 첫 기획 회의(킥오프 회의)를 개최한다.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국토부 자체 심의·자문 기구인 위원회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28 에어부산 화재’ 등 최근 연이어 발생한 항공기 사고 후속 조치로 항공안전체계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만들기 위해 구성됐다.
이번 첫 기획 회의에서는 위원장을 선출하고 위원회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이달 초부터 오는 4월까지 약 10주간 운영된다. 이 기간 동안 항공안전 및 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 20여명이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뉘어 활동하게 된다.
또 국토부는 위원회 운영 과정에서 논의 주제에 따라 관련 전문가를 위원회 위원으로 추가 임명할 계획이다.
위원회에서는 저비용 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 및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12·29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주로 지적된 사항 등을 논의한다.
이와 함께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내실화 등 항공 안전체계 쇄신을 위한 측면도 들여다 볼 방침이다.
위원회 운영 과정에선 민간 전문가가 제시하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한편 항공 부문 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대책을 모색해 나간다.
향후 위원회가 항공·공항 각 분야의 현장점검과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오는 3월 말까지 항공 안전 전 분야에 걸쳐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면 4월 초 공청회를 개최해 의견수렴을 진행한 후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최종 확정한다.
이번 첫 기획 회의을 주재한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 발생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다뤄야 할 과제”라며 “우리나라 항공안전 시스템의 신뢰 회복을 위해 정부는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