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능력·경험·신망 등 고려해 지명
5월 3일 전국위 표결 후 취임 예정
'전당대회 준비에 집중' 관리형 무게
갈등 뇌관, 전대 룰 변경 최대 난제
국민의힘이 황우여 전 사회부총리를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명하며 총선 참패 수습에 나선다. 황 전 부총리는 5선 의원에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당대표, 장관을 지낸 보수 진영의 원로로 전당대회까지 당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적임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29일 국민의힘 3차 당선자 회의를 마치고 윤재옥 원내대표 겸 당대표 권한대행은 △공정한 전당대회 관리 △풍부한 당무 경험 △덕망과 신뢰 세 가지 인선 기준을 밝힌 뒤 "황우여 전 부총리는 5선 의원에 당대표를 지냈고 덕망과 인품을 갖춰 공정하게 전당대회를 할 수 있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비대위의 혁신성이나 참신성에 의문을 표하는 시각이 없지 않았지만, 당선자들 사이 찬성으로 대부분 의견이 모아졌다는 후문이다. 당권 도전이 예상되는 나경원 서울 동작을 당선자는 "거의 만장일치로 (추대했다)"고 밝혔고 안철수 의원도 "무난한 인선"이라고 평가했다. 4선 이상 중진의원 대부분이 비대위원장을 고사한 것도 추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당선자 총회 결의에 따라 국민의힘은 이날 상임전국위를 열어 내달 2일 전국위원회를 소집하기로 의결했다. 전국위원회에서 황 전 부총리에 대한 비대위원장 임명안이 통과되면 절차는 마무리된다. 윤 권한대행은 앞서 5월 3일 전까지 비대위원장 임명을 마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비대위는 약 두 달 정도 운영되며 전당대회 개최를 위한 준비 작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임시 체제인 비대위보다 전당대회를 통해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한 지도부를 출범해 22대 국회에 대응하는 게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따라서 황우여 비대위는 '관리형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최대 난제는 '당원 100% 당대표 선출' 규정의 변경 여부다. 국민의힘은 지난해 3·8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대표는 당원들이 선출하는 게 맞다"는 의견에 따라 기존 '당원 70% 대 국민 30%' 룰을 당원 100%로 개정한 바 있다. 이면에는 친윤 주류 진영의 강한 드라이브가 있었다.
하지만 22대 총선 참패 후 소장파와 원외를 중심으로 "당심과 민심의 괴리가 있어서는 안 된다"며 국민 여론 50% 반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지난 22일 원외 조직위원장 160명은 윤 권한대행에게 당대표 선출 때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해 달라는 공식 요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전당대회 룰을 두고 당내 갈등이 촉발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다수파인 친윤 주류와 영남권 인사들은 현행 규정 유지에 무게를 싣고 있지만, 총선에서 참패하며 명분이 퇴색됐다는 평가다. 반면 비주류 혹은 수도권의 경우 소수지만 명분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양측이 팽팽히 맞서는 형국이다.
결국 황 전 부총리의 조율 능력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국민의힘의 한 당선인은 "어당팔(어수룩해 보이지만 당수 8단)이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당을 운영하는데 능숙한 분"이라며 "국민의힘에 아주 중요한 시점이고 또 어느 한쪽의 손을 들어줄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당내 의견을 잘 수렴해서 현명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