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반군 세력에
외무상 명의로 '독립' 인정 편지
우크라, 북한과 단교 선언
북한이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세력에 대한 독립국 지위를 인정했다.
핵실험 재개 카드를 만지작대고 있는 북한이 '우군' 확보 차원에서 러시아 '입맛'에 맞는 조치를 취한 모양새다.
북한 관영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14일 최선희 외무상이 '자칭'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 외무상들에게 편지를 보냈다고 밝혔다.
최 외무상은 편지를 통해 DPR과 LRP에 대한 독립 인정 결정을 통보하며 "자주·평화·친선의 이념에 따라 이 나라들과 국가관계를 발전시켜나갈 의사를 표명했다"고 말했다.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 역시 13일(현지시각) 러시아 주재 DPR 대표부의 소셜미디어 채널을 인용해 신홍철 러시아주재 북한대사가 올가 마케예바 러시아주재 DPR 대사에게 독립 인정 승인서를 전달했다고 전했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는 기자들에게 "우리는 도네츠크(DPR), 루간스크(LPR)와 관련한 러시아의 입장을 전적으로 지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DPR과 LPR은 지난 2014년 돈바스 지역의 도네츠크주와 루한스크주(러시아명 루간스크주)에서 친러시아 성향 분리주의자들이 선포한 '공화국'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침공을 목전에 뒀던 지난 2월 21일 DPR과 LPR의 독립을 승인한 바 있다.
러시아를 제외하고 현재까지 DPR·LPR을 독립국으로 인정한 곳은 북한과 시리아뿐이다. 특히 북한의 경우, 7차 핵실험 이후 불어 닥칠 국제사회 압박에 러시아가 '방파제' 역할을 해주길 기대하는 모습이다.
실제로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다수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을 위반한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을 사실상 '옹호'하고 있다. 양국은 선제적 제재완화 필요성까지 제기하며 국제사회에서 '북한 대변인' 역할을 맡고 있기도 하다.
한편 우크라이나는 북한의 독립국 승인 조치에 대항해 단교를 선언했다.
우크라이나 외무부는 같은날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한 성명에서 "북한의 결정을 우크라이나 주권과 영토 보전을 훼손하려는 시도로 간주하고 있다"며 "이는 우크라이나 헌법과 유엔 헌장 및 국제법의 기본 규범과 원칙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