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도 더 나은 세상 위한 노력"
"청년 젠더 갈등은 성차별 문제 아냐"
"한쪽 편 드는 것은 무책임한 정치"
여가부 폐지론엔 "성평등가족부 변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젠더 갈등과 관련해 “여성과 남성 청년 사이 갈등은 젠더 갈등을 넘어선 ‘오징어게임’ 같다. 누군가를 제거하기 위해 편을 드는 것은 정말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내놨다. 청년 젠더 갈등은 성차별 문제가 아닌 기회 부족에 따른 생존 경쟁이 근본 원인이라는 취지다.
9일 오후 서울지역 청년들과의 ‘국민반상회’에서 젠더 갈등 해소를 위한 청사진을 묻는 질문에 “페미니즘도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노력이라고 보고, 우리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남녀 간 불평등이 심하고 실제로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후보는 다만 “청년세대로 제한해서 보면 그렇게 (성차별이) 심각한가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며 “둥지 안에서 경쟁을 하는데 누군가를 밀어내지 않으면 내가 떨어지는 극한 갈등적인 상황인데 그들이 잘못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이어 “(둥지에서 살기 위해) 편을 먹고 있는데, 기성세대가 정치적 목적으로 한쪽 편을 들어선 안 된다”며 “기성세대 내 페미니즘 문제는 타당성이 높은데, 청년세대는 페미니즘 문제가 아닌 것 같다”고 했다.
같은 맥락에서 “지역과 수도권 청년 문제가 서서히 부상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이 후보는 “지방 청년 우선 채용 할당을 하는데 이론이 없었는데, 요즘은 폐지해야 한다는 논란이 시작되고 있다”며 “그렇게 되지 않는 상황을 만들어야지 한쪽 편을 들어 갈등을 격화시키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야권을 거듭 비판했다.
여성가족부 폐지와 관련해서는 “성평등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라면서 “여성이라고 하지 말고 성평등가족부로 하겠다고 발표를 한 적이 있다. 평등은 누구에게나 중요한 가치이고 억울하지 않도록 국가적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그러면서 “구조적인 문제라 해결이 쉽지 않지만, 둥지를 키워서 안 떨어지도록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해야 한다”며 “저도 아이들이 있는데 취직도 못하고 미안하다. 우리가 살았던 세상과는 다르다. 기성세대의 무책임과 방치 때문인데, 그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