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오는 25일 '현행대로' 결론 내려하자
비이재명계 "지도부 결론과 관계 없이 당무위 소집"
소집 요구서 제출 시기 놓고 저울질
대선 경선 연기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해온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오는 25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최종 결론을 내리려 하자, 경선 연기를 주장하는 비(非)이재명계는 '당무위원회 소집' 카드로 제동에 나섰다.
앞서 민주당은 22일 의원총회와 비공개 최고위를 잇따라 열었으나 경선 연기 여부를 결론 내지 못했다. 대신 송영길 대표는 대선기획단이 '대선 180일 전 후보 선출'을 기본으로 기획안을 마련해 25일 최고위에 보고하면 당일 검토 후 최종 결론을 내리겠다는 계획이다.
비이재명계는 이를 '현행대로' 가겠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한 캠프 관계자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대선기획단은 경선이 연기됐을 때의 안도 함께 만들어 최고위에 보고해야 한다"며 "180일 전 후보 선출 안만 올린다면 사실상 그것을 못 박겠다는 의미 아니냐"고 말했다.
의원총회에서 다수의 의원들이 경선 연기의 필요성을 건의했음에도 받아들여지지 않자, 비이재명계는 '당무위원회 소집'을 요구하려는 집단적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민주당 당헌 88조는 대선 180일 전까지 후보를 선출하도록 규정했지만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당무위 의결로 달리 정할 수 있도록 했다. 당무위는 지도부와 국회 상임위원장, 시도당 위원장, 시도지사 등 100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돼 있다. 당내 조직이 탄탄한 비이재명계에 유리한 구도다.
또 민주당 당헌 24조는 당무위 재적위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는 소집된다고 명시돼 있다. 비(非) 이재명계는 사실상 당무위 소집을 위한 요건을 갖춘 상태이며, 송 대표에게 소집 요구서를 언제 전달할지 시기를 저울질하는 상황으로 전해졌다.
비이재명계 관계자는 "25일 최고위가 열리기 전에 당무위 소집 요구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18일 지도부가 최고위를 열고 경선 연기 여부를 결론 내리려 한 것을 의원총회 소집으로 한차례 막았던 것처럼, 25일 최고위 역시 당무위 소집으로 유보시키겠다는 전략이다.
그러나 송영길 대표가 당무위 소집 요구에 불응하고 '현행대로' 쪽으로 결론을 내면 대응 카드가 마땅치 않다는 점은 고민이다. 이 때문에 "25일 최고위 결론을 본 뒤에 당무위 소집을 요구하는 게 맞지 않겠느냐"(비이재명계 의원)는 목소리도 나온다.
당무위 소집, 지도부 해석도 달랐다
지도부 내부도 경선 연기파와 반대파로 갈라졌다.
경선 연기에 찬성하는 김영배 최고위원은 23일 MBC 라디오에서 '최고위가 경선을 현행대로 진행한다고 결론을 내려도 당무위가 또 소집될 수 있는 건가'라는 질문에 "그렇다. 당헌에는 그렇게 돼 있다"고 말했다. 송 대표나 지도부의 결정과는 무관하게 당무위를 소집해 경선 연기를 안건으로 올릴 수 있다는 의미다.
반면 송 대표는 TBS 라디오에서 "(경선 연기) 상당한 사유에 대한 판단권은 당대표와 지도부에 있다"며 "(이 권한조차) 당무위에 있다고 하면 당대표의 존재 의미는 무엇이냐"고 말했다.
경선 연기에 반대하는 백혜련 최고위원도 KBS 라디오에서 "당무위에 의안을 상정하는 것은 최고위원회의 권한"이라며 "최고위가 상당한 사유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코로나 시국에서 총선과 재보궐선거, 전당대회를 모두 치른 상황인데 (대선 후보) 경선만 안 된다는 것은 상당한 사유로 보기 어렵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