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환경부, 9일부터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대상 지역 공모


입력 2020.09.08 12:00 수정 2020.09.08 11:22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총 25곳 선정 2년 동안 2900억원 규모 사업 추진


스마트 그리도시 사업 대상지역 유형 ⓒ환경부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역이 주도해 도시 기후변화 대응력을 높이고 생활공간 녹색전환을 촉진하는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공모를 9일부터 시작한다.


공모는 약 80일 동안 진행된다. 11월 30일 접수 마감 후 서면·현장·종합평가를 거쳐 12월 말 우수한 지역 맞춤형 기후대응·환경개선 사업계획을 제안한 25개 지역을 선정한다.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내년부터 2년간 시행될 예정이다. 총 사업 규모는 약 2900억원이다. 이 중 1700억 원(60%)이 국고로 지원되며 지방비는 1200억원(40% 매칭)이 투입된다.


지자체는 사업계획 수립 시 지역별 기후·환경 여건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기후탄력 등 10개 사업유형 중 복수(複數) 사업을 공간적, 유기적으로 연계해 지역 특성에 맞는 묶음형(패키지) 환경개선 해결책(솔루션)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통해 그간 공간과 분절돼 추진됐던 다양한 환경개선 사업들을 결합하고 신규 아이디어를 더해 동반상승 효과를 창출한다.


25개 지역은 사업목적과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해 문제해결형 20곳과 종합선도형 5곳으로 구분해 선정할 예정이다.


문제해결형은 도시 기후·환경 문제해결을 위해 2개 이상 사업을 결합, 마을(커뮤니티) 단위 수준에서 파급성이 높은 아이디어 발굴을 목표로 한다. 지역별 총사업비는 2년간 최대 100억 원이다. 국비 60억원, 지방비 40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종합선도형은 도시 기후·환경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도시공간의 선제적인 녹색전환을 위한 대표사례 발굴이 목표다. 마을(커뮤니티) 혹은 그보다 큰 지역을 대상으로 3개 이상 사업을 결합하는 유형이다. 지역별 총사업비는 2년간 최대 167억원이다. 국비 지원이 100억원, 지방비가 67억원이다.


환경부는 공모기간 중 지자체 사업계획 작성을 돕기 위해 스마트 그린도시 지원단을 운영해 상시 자문을 제공할 방침이다.


사업 공모 및 지원단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환경부 및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지역이 주도해 지역 특성과 여건에 맞는 환경 혁신을 이루고 도시 녹색전환 체계를 정착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환경부는 이를 위한 재정적 지원과 확산을 위한 발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군득 기자 (lob13@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