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가족·참전 유공자 초청해 처우 개선 약속
6·25 세미나 개최해 진짜 역사·정체성 강조
외교안보특위, 초당적 테이블 선제안하기도
"소수야당으로서 적극적 대안 제시 해 갈 것"
미래통합당이 6·25 전쟁 70주년과 6·29 연평해전 18주년을 맞아 안보 이슈 관련 행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삐걱대는 남북관계 속 정부여당의 안보관이 연일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는 상황 속에 '안보 정당' 이미지를 국민에 각인시킨다는 복안이다.
23일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6·25 전쟁 당시 납북됐던 인사들의 가족들을 국회로 초청했다. 전날 참전 유공자들을 초청한 데 이어 적극적으로 6·25 관련자들의 처우 개선에 힘쓰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이산가족 문제를 정부가 여러 가지 형태로 많이 노력한 것으로 알지만 모두가 그 기대를 총족하지 못했고, 아직도 이 문제를 북한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통합당은 앞으로 납북 이사가족들의 슬픔을 달랠 수 있는 측면에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이미일 납북인사가족협의회 이사장은 김 위원장을 향해 "저희의 건의를 수렴하시겠다는 선물을 받고 정말 위로가 됐다"고 화답하며 "정치는 문제를 해결해주고 피로를 씻어주며, 상처받은 마음을 위로해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종전선언 등 정부가 제시하는 한반도 평화문제 해결방안은 현실적인 진단이 빠져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도부의 행보와 함께 개별 의원들도 6·25 전쟁과 관련한 간담회를 연이어 개최하며 안보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초선 정경희 의원이 전날 '2020 대한민국 진짜 역사 바로알기' 연속 토론회의 일환으로 '6·25 전쟁과 한미동맹' 세미나를 개최한 데 이어 탈북민 출신 태영호 의원도 24일 '6·25 전쟁 바로 알기' 토론회 개최를 통해 대한민국과 북한 주민들 간 6·25 전쟁을 인식하는 차이점 등에 대한 강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경희 의원은 "대한민국 역사에 가짜 역사가 차고 넘친다"며 "가짜 역사는 주로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라는 대한민국 정체성을 흔드는 데 그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한민국 정체성인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통합당의 선(先)제안을 통해 외교·안보 관련 현안을 논의할 국회 내 초당적 테이블도 마련될 전망이다. 통합당 외교안보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진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 쪽에서 호응이 와 여야 합동회의를 열기로 했다"고 밝혔다. 첫 회의는 24일 국회에서 개최된다.
박 의원은 "국회 상임위원회가 작동하지 않고 있지만, 국가 안보 위기 상황이 전개되고 있어서 초당적 차원에서 여야 의원이 머리를 맞대고 회의하자고 제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통합당 핵심관계자는 이날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안보 이슈는 정파를 뛰어넘어 국민의 피부에 직접 와 닿는 이슈 아닌가, 거대여당에 맞서 싸워야 하는 소수야당으로서 건전한 비판과 적극적인 대안 제시를 통해 소위 '안보는 통합당'이라는 인식을 널리 각인시킬 수 있도록 기민하게 활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