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복 위한 총력 지원…수산식품 수출기업 경영자금 1354억원
어업인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일부 수산정책자금 금리 0.5%p 인하
정부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산분야의 피해 극복을 위해 수산식품 수출기업 지원과 어업인 긴급경영안정자금 및 회생자금 등의 지원을 추진한다.
정부는 지난 2월 28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코로나19 파급영향 최소화와 조기 극복을 위한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으며, 해운 물류업계의 지원책을 마련한 바 있다.
이를 이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출·소비·생산 등 수산업 각 분야의 경제활력이 위축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9일 해양수산부는 ‘코로나19 대응 수산분야 종합 지원대책’으로 ▲수산식품 수출기업 지원 ▲수산물 소비 및 거래 활성화 ▲어업인 경영 안정화 지원 ▲수산분야 경제활력 모멘텀 유지라는 4대 분야를 중심으로 한 지원책을 마련했다.
우선 중국 등으로의 수출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위한 긴급경영자금 30억원과 모든 수출기업을 위한 일반경영자금 1324억원 등 총 1354억원 규모의 수출 지원자금을 신속하게 풀어 기업의 자금난을 해소한다.
중국 등 7개국에서 운영 중인 수산무역지원센터 10곳을 통해 각종 통관 안내, 법률자문 등을 적극 지원하고, 친환경 인증(ASC 등) 취득, 샘플 통관비 지원과 같이 무역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도 신속하게 해소할 계획이다.
수출시장을 다변화를 위해 해외시장의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우리 수산식품의 판촉과 마케팅 지원도 신속히 추진한다.
또한 수산물 소비와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판로 개척에도 나선다.
우럭·전복·넙치 등 양식수산물에 대한 공중파·SNS 간접광고(PPL)를 지원하고, 영세 어업인이 공영홈쇼핑에 입점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은 물론, 전자상거래 진출과 관련된 컨설팅을 적극 지원한다.
아울러 온‧오프라인 유통채널과의 협업을 통해 이달의 수산물을 홍보하고, 어식백세 캠페인 확대도 실시한다.
해양수산창업투자지원센터 6곳과 어촌특화지원센터 10곳을 통해 지역의 수산기업과 어촌공동체의 온라인 등을 통한 판로 개척을 밀착 지원한다.
소비자가 지역의 위판장에 있는 수산물을 영상으로 직접 확인해 온라인으로 바로 주문할 수 있는 ‘위판장 캠마켓’ 3곳도 조기에 구축, 수산물 직거래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어업인의 경영 안정화 지원책으로 정책금융 조기 지원, 긴급경영안정과 경영회생 지원, 금리와 임대료 인하를 추진한다.
총 3조4800억 원에 달하는 수산분야 정책금융을 상반기에 80%(2조8000억원)까지 신속하게 공급해 어업인과 수산기업의 경영활동을 지원한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감소 등의 피해를 입은 어업인을 위해 200억원 규모의 긴급경영안정자금을, 경영위기에 처한 어업인을 위해 100억원 규모의 경영회생자금을 지원한다.
재정당국과의 협의를 거쳐 코로나19 피해 어업인 등에 지원하는 주요 정책자금의 금리를 1년간 0.5%p 인하하는 등 어업인의 이자 부담을 최대한 경감키로 했다.
이와 함께 최근 착한 임대료 운동에 발맞춰 지자체가 소유한 수산물 도매시장(18개)과 수산식품거점단지(13개)에 입주한 어업인(소상공인)이 부담하는 임대료도 인하(재산가액 5%→최저 1%)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이외에도 수산분야의 성장동력을 유지하기 위해 수산분야 예산 조기집행, SOC·투자 확대, 수산분야 공익형 직불제 도입 등도 차질 없이 추진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