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회 장학금, 신청하지 않았는데 받았다
장학금 남아서 그런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
"관악회 장학금, 신청하지 않았는데 받았다
장학금 남아서 그런 것인지는 알지 못한다"
조국 법무장관 후보자는 딸의 고려대·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 입학과 서울대 환경대학원 재학 시절 장학금 수혜 과정에서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해 일부 의아한 점이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주로 '제도의 문제'로 돌려 해명했다.
조 후보자는 2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딸의 논문 제1저자 의혹과 관련해 "내 전공이 법이라서 의학을 포함한 이과 쪽의 제1저자, 제2저자를 사실 잘 모르고 있었다"며 "고등학교 딸아이가 제1저자로 돼 있는게 조금 의아하다고 나도 생각한다. 지금은 이상해보이고, 나도 이상하게 보인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도 당시 책임교수였던 장모 단국대 교수의 인터뷰를 거론하며 "지금은 허용되지 않지만, 당시 시점에는 제1저자, 제2저자의 개념이 모호하거나 책임교수의 재량이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딸이 2주 간의 인턴 활동 결과 획득한 논문 제1저자 스펙으로 고려대에 입학한 것에 대해서는 "이명박정부 시절 입학사정관 제도가 들어왔고, 인턴십을 대대적으로 권장했다"며 "지금은 그런 것 자체가 허용이 안되고 생활기록부에 적히지 않지만, 당시는 우리 국가가 그 제도를 채택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인턴십을 이용할 수 없던 많은 분들이 있는데, 우리 아이가 혜택을 받았던 점은 나를 비판해달라"며 "10대 아이가 인턴을 구하려고 이리 뛰고 저리 뛰었던 것을 비판하는 것은 과도하지 않느냐"고 항변했다.
서울대 환대원 시절, 딸이 관악회로부터 두 차례 800만 원 장학금을 수혜한 것과 관련해서는 "나와 나의 어떤 가족도 장학금을 누구에게도 신청하거나 전화하거나 연락하지 않았다"며 "우리 아이도 서울대 동창회로부터 선정됐다고 연락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조 후보자는 "장학금이 남아서 그런 것인지 알지 못하겠지만, 선정돼서 받았다"며 "휴학하게 돼서 장학회에 전화해 '반납하고 싶다'고 하니 '반납이 불가능하다'고 해서 어쩔 수 없이 두 번째 장학금도 받게 됐다"고 부연했다.
한편 조 후보자는 딸이 부산대 의전원 입학에 앞서 서울대 의전원에 지원했을 때, 직접 의대 학과장 박모 과장에서 전화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전화)한 적이 없다"며 "우리 아이는 서울대 의전원 1차는 붙었지만 2차에서 떨어졌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