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오세훈·김진태, 총선 표심 놓고 '난타전'…황교안 '몸조심' 계속


입력 2019.02.17 13:49 수정 2019.02.17 15:18        정도원 기자

자유한국당 대표 후보, 첫 유튜브 생중계 토론

오세훈·김진태 "중도 확보 방안 뭐냐" 불붙어

황교안, 3축체계·협력이익공유제로 토론 가세

자유한국당 대표 후보, 첫 유튜브 생중계 토론
오세훈·김진태 "중도 확보 방안 뭐냐" 불붙어


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들이 17일 오전 한국당 공식 유튜브 채널 '오른소리'를 통한 생중계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제공

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에 당대표 후보로 출마한 오세훈 미래비전위원장과 김진태 의원이 총선에서 승리하기 위한 중도 표심 확보 방안을 놓고 치열한 난타전을 벌였다.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를 받고 있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조심스런 자세로 이어갔다.

17일 오전 한국당 공식 채널 '오른소리'를 통해 생중계된 당대표 후보자 유튜브 토론에서 오세훈 위원장과 김진태 의원은 총선 승리를 위한 중도 표심을 사로잡는 방법론을 놓고 극과 극의 인식 차를 드러냈다.

김 의원이 이날 "내년 총선에서 개헌저지선(100석)을 넘어 압승하겠다"고 공약하자, 오 위원장은 기다렸다는 듯이 "개헌저지선을 넘어 과반을 이루려면 전체 253개 의석 중 122개가 걸린 수도권에서 승리해야 한다"며 "김 후보는 보수를 결집하는 집토끼 결집에는 장점이 있을지 모르지만 (중도층의 호감을 받을 수 없어) 수도권 선거에서는 질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에 김 의원은 "중도란 여론조사에서 답변을 하지 않는 무당파·무응답층으로, 이런 분들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확실한 의견을 갖고 싸워가야 한다"며 "제대로 된 우파 가치를 밝히지 못하면서 좌편향된다고 하면, 바른미래당도 민주당도 있는데 무당파·무응답층이 굳이 한국당을 선택할 이유가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金 "제대로 된 우파 가치 밝혀야 중도 다가와"
吳 "강성우파에 중도가 끌려온다? 큰일날 소리"


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인 김진태 의원과 오세훈 미래비전위원장이 17일 오전 생중계된 유튜브 토론회에서 중도 표심 확보 방안을 놓고 서로 헛웃음을 지으며 상대의 논거를 반박하고 있다. ⓒ오른소리 갈무리

두 후보 사이의 논쟁은 이후 오 위원장의 주도권 토론 시간에 다시 불붙었다.

오 위원장은 "우리 정체성을 강성보수·강성우파로 강화하면 (중도) 그분들이 우리 쪽으로 끌려온다는 말에 참으로 큰일났다 싶더라"며 "지난 대선에서 안철수 후보를 찍은 700만 표, 유승민 후보를 찍은 220만 표는 그분들에 대한 개인적 지지가 아니라, 따뜻한 보수로 어려운 사람들을 챙겨달라는 취지의 표인데, 그런 중도보수의 마음을 어떻게 얻어올 것이냐"고 추궁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당이라는 것은 이념으로 뭉친 것인데, 정말 잘못 짚은 것"이라며 "우리 오 후보의 정체성은 뭐냐, 나는 그게 뭔지 알 수가 없더라"고 반격했다.

어떻게 해야 총선 승리를 위한 중도 표심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놓고 서로 상대방이 답변을 하고 있는 동안 헛웃음까지 지어가며 상이한 인식차를 드러낸 두 후보는, 몇 초 남지 않은 시간까지 쪼개가며 "바른미래당과의 차이점이 뭐냐"(김 의원), "바른당에 가 있는 표를 가져와야 하지 않느냐"(오 위원장)고 날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金 "따뜻한 보수, 바른미래당과 차이점이 뭐냐"
吳 "바른당에 가 있는 보수표를 가져오자는 말"


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인 오세훈 미래비전위원장이 17일 오전 한국당 공식 유튜브 채널 '오른소리'를 통해 생중계된 후보자 토론회에서 바른미래당과의 정체성 차이를 묻는 김진태 의원의 질문에 "바른당에 가 있는 보수 표심을 가져와야 한다는 말"이라고 큰 제스쳐를 취하고 있다. ⓒ오른소리 갈무리

오세훈·김진태 두 후보 사이의 전선(戰線)은 토론회가 거듭될수록 모든 방면에 걸쳐 전면전 양상으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이날 두 후보는 △오 위원장의 지난해 6·13 지방선거 기여도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애증 문제 등으로도 논란을 벌였다.

김 의원은 자신의 주도권 토론 때 오 위원장을 향해 "(지난 TV토론에서) 지방선거 때 지원유세를 많이 다녔다는데 고맙긴 하다"면서도 "당에서 사실 바랐던 것은 서울시장 후보로 나오는 것이었는데, 당이 원한 것은 하지 않으면서 (기여했다고) 말하는 것은 좀 그렇지 않느냐"고 꼬집었다.

오 위원장은 "정치적인 일이라 소상히 밝힐 수는 없지만, 홍준표 (당시) 대표가 진정성 있게 제안하는 게 아니라, 언론을 통해서 제안을 했다"며 "당시 홍 대표가 지방선거를 치르는데 장애사유로 등장한 상황에서, 출마를 하게 되면 홍 대표와 노선을 달리해 선거를 치르는 게 쉽지 않을 것 같아 (불출마는) 고육지책이었다고 속사정을 말씀드린다"고 해명했다.

이어 김 의원은 "(2006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그 때도 (오 위원장이) 당비 납부를 하지 않아서 책임당원 논란이 있던 것을 박근혜 전 대통령이 부여해줬고, 후보등록도 늦은 것을 추가등록까지 받았다"며 "규정까지 바꿔주고 커터칼까지 맞아가며 시장이 되게 해줬는데, 애증(愛憎)이란 표현은 인간적 도리가 아니지 않느냐"고, 다시 박 전 대통령 화두를 꺼내들었다.

답변에 나선 오 위원장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있다는 것을 짧게 (애증이라) 표현했을 뿐, 고마운 것은 고맙게 생각한다"면서도 "정당은 사람 중심 정당이 아니다. 자유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위한 정당은 아니지 않느냐"고, 화두를 특정인에 관한 감정 문제를 거론하는 김 의원을 정면으로 맞받았다.

吳 "3축체계는 무리, 핵 거론해 억지전략 써야"
黃 "3축 어렵다고 더 어려운 것 하자는 말이냐"


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인 오세훈 미래비전위원장과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생중계된 유튜브 토론회에서 한국당 한국형 미사일방어 3축 체계와 핵개발,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를 통한 억지 전략의 장단점을 놓고 가열찬 토론을 벌이고 있다. ⓒ오른소리 갈무리

이처럼 오세훈·김진태 두 후보가 치열한 포격전을 벌인 반면, 황교안 전 총리는 이날 유튜브 토론에서도 자신의 주도권 토론 시간을 △규제혁신과 노동개혁 △남북군사합의로 인한 안보공백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 △'블랙리스트' 관련 문재인정권의 '내로남불' △김경수 경남도지사 구속 등 현 정권 여론조작 등 후보자 간에 이견이 있기 어려운 내용들로 채웠다.

안보와 경제 등에서 원론적인 입장을 밝히며 '부자 몸조심' 전략을 펼친 황 전 총리를 향해 오 위원장과 김 의원은 △핵무장·전술핵 재배치 거론을 통한 북핵 억지전략 △협력이익공유제의 당·부당 등 구체적 사안을 짚어 추궁하며 논란의 장으로 끌어들이려 애썼다.

황 전 총리가 "이 정부 들어서 한국형 미사일방어 3축 체계가 출발도 하기 전에 막힌 것은 대단히 유감"이라며 총리 시절 추진했던 '3축 체계'를 향한 애정을 드러내자, 오 위원장은 "3축 체계는 60조 원 가까운 돈을 쓰는데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고 실효성이 없다"며 "핵개발이나 미국의 전술핵 재배치를 억지전략으로 쓰면서 북핵을 폐기하는 전략을 쓰자"고 제안했다.

오 위원장이 "3축 체계에 대한 애정만 표현해서 실망"이라고까지 공격하자, 황 전 총리는 이날 토론을 통틀어 처음으로 "3축 체계가 무리하다는 말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고 강한 부정 의사를 밝히며 "오 후보가 말한 핵이야말로 국제사회에서 논의하기 쉽지 않은 문제"라고 반발했다.

계속해서 오 위원장은 "3축 체계는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높고, 과학 수준도 가능하지 않다"며 "전략적인 카드로 중국을 움직여 북핵을 폐기해보자는 것인데, 국제사회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말이 답답하다"고 공세를 이어갔으나, 황 전 총리는 헛웃음을 짓더니 "3축 체계가 어려우니 더 어려운 것을 하자는 말인가"라며 "동의하기 어렵다"고 잘라 말했다.

黃 "협력이익공유제, 시장경제 원칙대로 해야"
金 "뭘 물어봐도 '원칙대로' 답이 안되지 않냐"


2·27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인 김진태 의원이 17일 오전 생중계된 유튜브 토론회에서 협력이익공유제에 대한 찬반을 놓고 질문과 답변을 주고받고 있다. ⓒ오른소리 갈무리

김 의원은 "황 후보는 답변을 '원칙대로' '합리적으로' '합의에 의해서' '원칙을 가지고' 좋은 말들만 하는데, 뭘 물어봐도 '원칙대로'만 해야 한다고 하니 답이 안 되지 않느냐"며 "협력이익공유제라는 것은 법안이 통과가 되면 강제(로 대기업의 이익을 거래사들이 나눠갖게) 되는 것인데, 찬성이냐 반대냐"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에 대해 황 전 총리는 "합의가 이뤄지면 합의에 따라서 하는 게 시장경제인데, 서로의 이익을 양보하지 않으려 하니 협력이익공유제가 나온 것 아니겠느냐"며 "시장경제에 반하는 법은 입법을 신중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기준을 만들어 합의하는 게 좋겠다"고 답했다.

정도원 기자 (united9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