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기무사 특별수사단 수사경과 발표…세월호사찰 광범위 증거


입력 2018.08.02 14:00 수정 2018.08.02 14:41        이배운 기자

계엄문건 원래 제목은 ‘現 시국 관련 대비계획'

작성TF 비밀리 운영…망 분리PC, 전자기기 포맷 정황

국군기무사령부 계엄 문건 일부 발췌 ⓒ국방부

국방부 ‘기무사 의혹 특별수사단’은 2일 국군기무사령부 계엄문건 수사 경과를 발표했다.

앞서 군은 지난달 16일 특별수사단을 구성해 기무사의 세월호 민간인사찰 의혹 및 계엄문건 작성 의혹 사건에 대한 수사를 진행했다.

특수단은 수사 개시 당일 계엄문건 관련 USB를 확보하고 이후 계엄문건 작성 테스크포스(TF)원 등 25명 소환조사, 압수물 분석, 관계자 진술 등을 실시했다.

특수단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계엄문건 보고서의 원래 제목은 언론에 공개된 제목인 ‘전시계엄 및 합수업무 수행방안’이 아닌 ‘현(現) 시국 관련 대비계획’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특수단에 따르면 기무사는 계엄문건 작성 TF를 비밀리에 운영하기 위해 ‘미래 방첩업무 발전방안’ TF란 이름으로 인사명령·예산 및 별도 장소를 확보했고, 망이 분리된 PC를 이용해 문건을 작성했으며 TF 운영 이후 사용된 전자기기를 포맷했다.

특수단은 USB 안에 수백 개의 파일이 저장됐다가 삭제된 흔적을 발견하고 이 중 상당수를 복구했다고 덧붙였다.

또 특수단은 복구된 일부 파일에 ‘계엄시행준비’에 관한 내용이 다수 포함된 점에 주목하고, 압수물 분석자료, 관련자 진술 등을 통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세월호 관련 민간인 사찰 사건에 대해서는 관련자 작성 보고서와 이메일, 세월호 백서 및 업무용 PC 등 광범위한 증거를 확보·분석했으며, 기무사의 유가족에 대한 조직적이고 전방위적인 사찰 혐의를 포착하고 수사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수단은 “기무사는 세월호 참사 발생 이후 현장지원 등을 명목으로 세월호TF를 구성해 일반 지원업무 외에도 유가족을 사찰한 사실을 확인했다”며 “아울러 현장 및 사이버 사찰을 통해 유가족의 성향, 정부발표에 대한 반응, 일부 유가족의 사진, 학력,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수집해 보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특별수사단 계엄문건 수사팀은 이날 부터 동부지검으로 이동해 수사를 벌이며 세월호 민간인 사찰 수사팀은 국방부 현 장소에서 관련수사를 계속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이배운 기자 (lbw@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배운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