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 조기 도입… 시중은행 예견된 '온도차'
기업, TF 꾸려 세부방안 마련 중…농협·우리 등도 가세
국민·신한은 산별교섭 통해 은행권 공동 대응방안 고대
시중은행들이 주 52시간 근무제 조기 도입을 놓고 미묘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자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내부 논의를 진행 중인 은행들이 있는 반면 은행권 차원의 공동 대응방안만을 기다리고 있는 곳도 있다. 은행연합회가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와의 산별교섭과는 별개로 실무자급 회의를 진행할 예정인 만큼 주 52시간 조기 도입이 가시화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주요 은행 가운데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IBK기업은행이다.
기업은행은 이달 초 근로시간단축 대응 TF를 출범시켜 주당 최대 야근시간을 정하는 등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은행권에서 근로시간단축과 관련해 TF를 구성한 것은 기업은행이 처음이다.
기업은행이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선제적으로 움직이는 이유는 취임 초부터 ‘직원이 행복한 은행’, ‘일하고 싶은 은행’을 강조한 김도진 행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NH농협은행도 탄력근무제로 운영되는 영업점, 야근이 많은 정보기술(IT) 분야 등 특수직군 분야까지 근무시간을 주 52시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우리은행 역시 최근 TF를 만들어 초과근무가 불가피한 부서들의 인력 운영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의 경우에도 태스크포스팀(TFT)을 통해 공항소재 영업점, 일요영업점 등 특수영업점 및 야근이 잦은 일부 직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근무 시행 관련 차질이 없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다.
KEB하나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저녁이 있는 삶 ▲휴식이 있는 삶 ▲소통이 있는 삶 등 3가지 테마로 근로문화 혁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인천국제공항 등 특수 영업점을 제외한 본점 및 영업점은 큰 무리없이 이미 주 52시간 근무가 지켜지고 있다”며 “추후 채용계획과 연계해 특수영업점 등을 포함한 전체 52시간 근무체계가 잘 지켜지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등은 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가 해당 사안에 대해 논의를 하고 있다며 향후 은행 공동으로 대응해 나가겠다는 분위기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가 산별교섭을 통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잘 시행될 수 있도록 은행권 공동으로 논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는 오는 30일 3차 산별중앙교섭을 열고 주 52시간 근무제를 조기 도입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주 52시간 근무를 적용하지 않을 특수 직군 범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은행연합회는 산별중앙교섭과는 별개로 실무자급 회의를 개최할 계획이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내부적으로 산별중앙교섭과는 별개로 실무자급 회의를 진행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