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정통성…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4.19 민주이념”
“4.19 혁명, 2016년에 촛불혁명으로 장엄하게 타올라”
“4.19 혁명, 2016년에 촛불혁명으로 장엄하게 타올라”
이낙연 총리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과 ‘4.19 민주이념’을 대한민국 정통성의 원천이라고 강조하며 건국절 논란에 한번 더 쐐기를 박았다.
이 총리는 19일 오전 4.19 국립묘지에서 열린 제58주년 4.19혁명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4·19혁명은 이 땅에서 처음으로 민중에 의해 절대권력을 무너뜨리며, 신생독립국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싹틔웠다. 4.19혁명은 아시아 최초의 성공한 시민혁명이라는 세계사적 위업이 됐다”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어 “어떤 사람들은 4.19를 ‘절반의 성공’이라거나 ‘미완의 혁명’이라고 말했다. 4.19를 ‘의거’로 낮춰 평가한 시기도 있었다”며 “그러나 4·19는 죽지 않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부활했다. 1979년 부마항쟁으로,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되살아났고, 2016년에는 촛불혁명으로 장엄하게 타올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4.19 이후 26년의 군부집권을 거친 뒤에 일어난 6월 민주항쟁은 대통령직선제 헌법개정을 이끌어내고 절차적 민주주의를 구현했다. 다시 29년을 보낸 뒤의 촛불혁명은 실질적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의 열망을 드러냈다”고 지난 촛불집회의 혁명성을 강조했다.
이 총리는 “촛불혁명으로 새로운 정부를 탄생시킨 지금은 정치에서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문화의 모든 영역에서 민주주의를 내실화하고 내면화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했다”며 “성별, 계층, 세대, 지역 사이에 광범하게 심화되는 격차를 완화하고, 모든 부문에서 공정과 정의를 바로세우는 일이 그것이다. 문재인 정부는 그 과업을 충실하고 꾸준하게 이행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최근 3.15의거 관련 문건이 추가로 발견됨에 따라, 이제까지 포상받지 못하신 4・19혁명 유공자 107분을 새로 찾게 됐다”며 “정부는 민주화운동 유공자를 더 찾아, 그 헌신을 정당하게 평가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