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지난해 여전사 순익 25% 급증…대출 증가 따른 '이자이익 확대' 영향


입력 2018.04.16 06:00 수정 2018.04.16 06:14        배근미 기자

금감원, 2017년도 여신전문금융회사 영업실적 발표…카드사 제외

리스크 관리 강화에 건전성도 개선세…"불확실성 따른 모니터링"

여전사 순이익 현황 ⓒ금융감독원

지난해 대출 증가에 따른 이자이익 확대로 인해 할부금융사와 리스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순익이 급증했다.

1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7년도 여신전문금융회사(카드사 제외) 영업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여전사 순이익은 전년 대비 25%(3844억원) 증가한 1조9244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대상은 신용카드사를 제외한 할부금융사 21곳, 리스사 26곳, 신기술금융회사 42곳 등 총 89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여전사들의 이번 실적은 고유업무에 대한 순이익이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음에도 대출 증가(12.3%, 6조7000억원 ↑)에 따른 이자이익이 급증(8.6%, 3689억원 ↑)하면서 순익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평가됐다.

자산건전성과 자본적정성 역시 개선세를 나타냈다. 여전사들의 리스크 관리 강화에 따라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은 전년비 0.2%p 하락한 1.87%를 기록했고, 부실채권 비율을 나타내는 고정이하여신비율 역시 전년 말보다 0.27%p 개선된 1.89%의 수치를 보였다.

같은 기간 여전사들의 조정자기자본비율(지도기준 7% 이상)은 16.3%로 전년보다 0.2%p 상승했고, 레버리지비율(지도기준 10배 이내)은 6.6배로 1년 전과 동일한 규모를 기록하며 전 여전사가 감독규정에서 정한 지도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해당 여전사들의 총 자산은 131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가운데 고유업무 자산(52조원)의 경우 자동차할부 및 리스자산 증가에 기인해 2016년 말보다 8.9%(4조3000억원) 증가했고 가계·기업대출 증가에 따라 대출자산(61조3000억원) 역시 12.3%(6조7000억원) 확대됐다.

감독당국은 금리인상 등 시장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여전사들의 조달금리와 차환발행 현황 등 자금조달 상황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 강화에 나서기로 했다. 또 여전채 만기도래 현황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안정적 자금 운영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여전사의 건전성 악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다중채무자 등 취약·한계차주에 대한 연체율 추이를 모니터링하는 한편 자본확충을 유도하는 등 건전성 감독 강화에 나설 예정"이라며 "아울러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도입을 통해 가계부채에 대한 리스크 관리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근미 기자 (athena350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배근미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