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총리 “대한민국, 임시정부 법통 계승”…건국절 논란 또 쐐기
오늘 제99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
기념일, 국호 제정하고 내각 구성한 4월11일로
기념일, 국호·임시헌장 제정하고 내각 구성한 4월 11일로
이낙연 국무총리가 “우리 헌법이 그 첫 문장에서 ‘대한민국은 3.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선언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13일 오전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99주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이라는 국호를 반포하고, 태극기와 애국가라는 국가상징을 공식화했다. 민주공화제 국체를 선포하고, 국민의 평등과 자유를 약속했으며 국민의 권리와 의무 또한 규정했다. 그리고 광복군이라는 군대도 창설했다”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어 “우리는 임시정부 지도자들께 몇 가지 크나큰 빚을 지고 있다. 첫째는 선열들께서 목숨과 가산을 내놓으시고 조국독립을 이루게 하신 빚이고 또 하나는 후대인 우리가 조국분단을 아직까지도 극복하지 못한 빚이다”며 “북한핵을 없애고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면서 언젠가는 평화통일을 이루기를 간절히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내년이면 대한민국임시정부 100주년입니다만, 우리는 아직까지도 임시정부기념관도 갖지 못하고 있다”며 “늦었지만 정부는 기념관 건립을 준비하고 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역사를 오롯이 간직할 기념관으로 만들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임시정부를 비롯한 독립운동의 역사도 충분히 발굴, 기록,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며 “최근 역사학계가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이 4월 13일 오늘이 아니라 국호와 임시헌장을 제정하고 내각을 구성한 4월 11일이므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법령 개정을 거쳐 내년부터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일을 4월 11일로 수정해 기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애국선열과 독립유공자의 보훈에도 정성을 다하겠다며 “일제강점기의 수형기록을 모두 조사해서 이제까지 묻혀 계시던 의병과 독립운동가들을 찾겠다. 광복군 총사령부처럼 유실된 해외독립운동 사적지를 복원하고, 다른 유적들도 세심하게 보살피겠다”고 약속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