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사고, 눈·비 올 때보다 추울 때 더 많이 발생"
KB손보, 사고 및 기후통계 분석 결과 발표
"기온 변화가 차량 사고에 큰 영향 미쳐"
차량 사고 증가에 강수량과 적설량은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기온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B손해보험은 2015년 1월부터 2018년 2월까지 3년 간 자사 사고통계와 기상청 기후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온·강수량·적설량 변화에 따른 사고빈도를 분석한 결과, 기온의 변화가 차량 사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른 요소들의 변화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29일 밝혔다.
우선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겨울철로 갈수록 사고건수의 증가폭이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0도 이하부터는 온도가 내려갈수록 사고빈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됐다는 설명이다. 0도에서 영하 1도로 떨어질 때 사고증가율은 1.9%였으나 영하 10도에서 영하 11도가 됐을 때는 0도 대비 25배로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영하 15도에서는 0도 대비 100배 이상 증가했다.
기온이 떨어질수록 사고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대중교통 이용 감소와 자가 차량 이용 빈도 증가, 도로의 결빙에 따른 미끄러짐 사고 증가, 타이어 공기압 감소 시 기울어짐 현상 및 타이어 파손에 의한 사고 증가 등이 꼽힌다. 반대로 기온이 0도 이상으로 올라갈 때 사고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강수량의 경우 80㎜ 이상일 때 사고빈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강수량 증가 시 사고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등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뿐 기온의 경우처럼 사고빈도가 점차 증가하지는 않았다. 이는 빗길 운전으로 사고가 늘어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저속 운전을 하거나 운행 자체를 하지 않아 사고가능성이 감소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란 해석이다.
기온, 강수량과 동일한 방식으로 적설량을 분석한 결과 사고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진 않았으며, 국내에는 드물지만 적설량이 80㎝를 초과할 경우 운행이 불가해 오히려 사고빈도가 감소하기도 했다.
한편, 해외연구 사례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됐다는 설명이다. 벨기에에서 수행한 모델링 결과 온도가 낮아질수록 사고발생건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하의 온도에서 사고 발생 건수의 증가폭이 더욱 커지는 등 이번 KB손보의 분석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