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국민인식 '긍정'평가…6차 핵실험 이후 첫 '역전'
민주평통 조사 결과, 전분기 대비 '北, 협력 지원 대상' 답변↑
국민 10명 중 7명 '4월 남북정상회담, 한반도 평화 기여할 것'
북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2016년 핵실험 이후 처음으로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수석부의장 김덕룡, 사무처장 황인성)는 3월 15일부터 4일간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북한에 대한 인식이 전분기(2017년 4분기)와 비교해 '경계·적대 대상'(42.5%→32.6%)에서 '협력·지원 대상'(39.9%→50.1%)으로 전환됐다.
기존 대북 인식은 2016년 1월 북한의 6차 핵실험을 계기로 '경계/적대 대상'인식(50.8%)이 '협력/지원 대'인식(38.2%)을 능가해온 점을 감안하면 주목할 만한 결과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대화 재개 등 관계가 복원되면서 향후 남북관계에 대한 긍정적 전망도 대폭 증가했다.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이 전분기 대비 23.2%p 상승해 62.2%를 기록했다.
향후 북한 체제의 개혁개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다'는 응답(55.2%)이 '낮다'는 응답(38.4%)보다 16.8%p 이상 높게 집계돼 전분기 대비 역전 현상이 나타났다.
또 3월 초 대북특사단 방북 성과와 관련해서는 ▲비핵화 및 북미 대화 의사 표명(38.1%) ▲대화기간 핵‧미사일 실험중단 및 대남 핵‧재래식 무기 불사용 확약(20.1%) ▲제3차 남북정상회담의 판문점 개최 합의(17.3%) ▲남북 정상 간 핫라인 설치 합의(9.5%) ▲우리 태권도시범단‧예술단의 평양 방문(3.3%) 등이 꼽혔다.
4월 말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릴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서는 국민 10명중 7명 이상이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평화정착에 '기여할 것'(70.1%)이라 응답했으며, 회담 의제에 대해서는 '한반도 비핵화 추진'을 1순위(50.3%)로 꼽았다.
정부의 대북정책 평가도 긍정적인 답변이 우세했다. 대북정책에 대한 국민 공감도는 69.6%로 '비공감'(26.9%) 의견보다 2.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번 2018년 1분기 국민 통일여론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P이다.
한편, 3월 15일~20일 사이 진행되는 통일‧북한 전문가 대상 여론조사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내외 자문위원 대상 여론조사에 대한 결과는 민주평통에서 발간하는 2018년 1/4분기 '통일 여론'에 수록, 이번 국민여론조사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발표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