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부동산시황] 서울 아파트값 3주 연속 상승폭 ‘주춤’
잇단 규제책 발표‧누적된 가격급등 피로감 등 영향
정부의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 강화와 서울시의 관리처분계획인가 시점 조정방침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둔화됐다.
여전히 매도자 우위시장 시장이 지속되고 있지만 단기간 오른 가격에 대한 부담과 정부의 규제 정책 기조 등의 영향으로 추격매수세가 줄어든 영향이다.
2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0.32%를 기록하며 3주 연속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 0.32%는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치다. 신도시는 판교와 분당이 역세권 인근 아파트 매물이 귀해지며 상승폭이 컸고 이외 지역은 관망세를 보이며 전주 대비 상승폭이 줄어든 0.10% 기록했다. 경기·인천은 0.02% 올랐다.
서울은 ▲광진(0.85%) ▲성동(0.73%) ▲송파(0.65%) ▲성북(0.51%) ▲강동(0.41%) ▲종로(0.35%) ▲중구(0.35%) ▲강서(0.30%) 순으로 상승했다.
신도시는 ▲판교(0.50%) ▲분당(0.19%) ▲평촌(0.16%) ▲광교(0.10%) ▲일산(0.04%) ▲중동(0.03%)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동탄(-0.08%) ▲김포한강(-0.01%)은 매물이 쌓이면서 하락했다.
경기‧인천은 ▲과천(0.26%) ▲의왕(0.13%) ▲안양(0.10%) ▲성남(0.09%) ▲용인(0.05%) ▲하남(0.05%)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안성(-0.13%) ▲화성(-0.09%) ▲안산(-0.07%) ▲오산(-0.06%) ▲동두천(-0.06%)은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봄 이사철을 앞두고 있지만 안정적인 분위기다. 서울은 도심 역세권 단지 위주로 국지적인 강세는 이어졌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신규 입주 아파트로 전세수요가 분산되며 0.02% 상승했다. 반면 신도시는 공급물량이 많은 동탄과 김포한강에서 전세매물이 쌓이며 0.02% 내렸고 경기·인천도 0.05% 하락했다.
서울은 ▲광진(0.28%) ▲중구(0.21%) ▲성북(0.15%) ▲동대문(0.11%) ▲중랑(0.08%) ▲동작(0.06%) 순으로 상승했다. ▲강동(-0.15%) ▲송파(-0.07%) ▲영등포(-0.04%) ▲서초(-0.03%) 등은 전세수요가 주춤해지면서 전셋값이 하락했다.
신도시는 ▲판교(0.09%) ▲분당(0.04%) ▲일산(0.02%) ▲평촌(0.02%)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동탄(-0.27%) ▲김포한강(-0.08%)은 공급물량 부담에 전셋값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경기‧인천은 ▲오산(-0.71%) ▲시흥(-0.38%) ▲안산(-0.25%) ▲안성(-0.23%) ▲광명(-0.20%) 순으로 전셋값이 떨어졌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재건축 조합원지위양도 제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 시행과 금융규제 등에 이어 안전진단 기준 강화, 서울시의 이주시기 조정이 발표되는 등 아파트 시장에 대한 규제 대책이 나오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둔화됐다”며 “여기에 단기간 급등한 아파트값에 매수자들은 피로감을 내보이며 매수세도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당분간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진정된 모습을 이어갈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