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테러센터, 평창동계올림픽 대비 테러경보 상향조정
2월 2일부터 전국 주의, 6일부터 서울·경기·인천·강원 경계
2월 2일부터 전국 주의, 6일부터 서울·경기·인천·강원 경계
대테러센터가 오는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비해 테러경보를 격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는 3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국가안보실, 국가정보원, 행정안전부, 법무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해양경찰청 국장급 등 8개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대테러센터장 주재로 테러대책실무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둔 마지막 실무회의로서 테러경보상향 조정계획 심의와 평창·강릉 이외지역 테러대비태세 강화방안 등의 논의로 진행됐다.
정부는 올림픽 개최일에 맞춰 단계적으로 테러경보를 상향·조정하고 각 기관은 이에 맞춰 소관분야 대응태세 실행 등 더욱 고도화된 대비태세를 구축하기로 했다.
테러경보는 G-7인 2월 2일에는 전국을 대상으로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하고 G-3인 2월 6일에는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지역의 테러경보를 ‘경계’로 격상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경찰청·국토교통부·해양경찰청 등은 2단계 ‘주의’ 시에는 자체 대비태세점검 및 공항·항만 보안검색을 강화하고 3단계 ‘경계’ 시에는 대테러 상황실 가동·비상 근무체제 및 테러대상시설 경비인력 증원·출입통제 강화 등을 실시한다.
또한 경찰청·국방부·법무부·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해양경찰청 등 관계기관은 2005년 영국 G8정상회담 런던테러, 2013년 러시아 소치올림픽 체첸반군 자폭테러 등 국제행사 개최지역 이외의 테러사례 및 분석 자료를 공유하고 평창 동계올림픽 대회개최지역 이외에도 테러예방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지난 1월 27일 아프간 카불에서 앰뷸런스로 위장한 차량 자폭 테러를 계기로 구조·구급용 차량에 대한 별도 비표 발급 등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국내에서는 주한공관, 미국부대 등 외국정부시설과 정부종합청사 등 공공기관경비 및 불법체류자 관리, 항공․철도보안, 해상경비를 보다 철저히 해나가기로 했다.
한편, 오늘 경기장·선수촌·미디어촌 등 현장안전통제실(18개) 개소가 1월 31일 부로 마무리됨에 따라 대회시설 안전 확보 및 인원․차량 출입통제 실시 등 본격적인 현장 대테러안전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