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금강산 남북합동문화공연 취소…베일의 고위급 대표단 파견은?
단계적 수위 높여 대표단 파견 취소까지 이어질 가능성
마식령 공동훈련 별다른 언급 없어…정부 “상황 주시”
단계적 수위 높여 대표단 파견 취소까지 이어질 가능성
마식령 공동훈련 별다른 언급 없어…정부 “상황 주시”
북한이 2월 초 예정된 금강산 남북 합동문화공연을 돌연 취소하면서 남북이 합의한 공동 행사들이 영향을 받을지 주목된다. 특히 내일로 예정된 마식령 공동훈련의 개최 여부와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는 고위급 대표단의 방남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은 29일 밤 10시 10분께 남북고위급회담 북측 단장 명의 통지문을 통해 2월 4일 금강산에서 진행하기로 합의했던 남북 합동문화공연을 취소한다고 알려왔다.
북한은 통지문에서 "남측 언론들이 평창올림픽과 관련한 북한이 취하고 있는 진정 어린 조치들을 모독하는 여론을 계속 확산시키고 있으며, 북한 내부의 경축행사까지 시비해 나선 만큼 합의된 행사를 취소하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
북한의 갑작스러운 취소 통보로 남북이 합의한 공동 행사들의 개최 전망이 불투명해진 가운데, 당장 내일로 예정된 마식령 공동훈련을 비롯해 남북이 합의한 각종 행사의 진행 여부도 어떻게 될지 주목된다.
정부는 북한의 취소 통보에 '유감'이라는 입장표명을 낸 뒤, 예고된 나머지 행사의 개최 여부와 관련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북한은 앞서 금강산 합동공연을 취소하겠다고 통보하면서, 앞서 예정된 마식령 공동훈련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시기가 임박한 마식령 공동훈련은 그대로 진행하고, 금강산 합동공연 키를 쥐고 흔드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마식령 공동훈련 일정을 앞두고 방북단을 위한 전세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재까지 구체적인 일정 발표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런 가운데 북측 고위급 대표단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북측이 고위급 대표단에 대해 이렇다 할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더 많은 변수가 도사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북측이 시기가 임박해 남북 합의 내용을 일방적으로 변경·파기하면서, 단계적으로 수위를 높여 최악의 경우 대표단 파견 취소까지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고위급 대표단 파견 여부를 쥐고 있다가 평창올림픽에 임박해 명단을 확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국면전환을 꾀하고 있는 북한이 효과를 극대화해 전 세계 이목을 집중시키겠다는 의도가 깔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