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이버성폭력 피해 지원…두달새 81건 처리
영상 유포행위 31% “동의하에 촬영된 영상이 협박도구 되기도”
서울시가 사이버성폭력 피해 지원에 팔 걷고 나섰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사이버성폭력 피해자 지원 시범사업'을 추진해 상담, 영상 삭제, 수사, 법률 지원 등 81건을 지원했다고 26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원사업 취지에 대해 "사이버성폭력은 불특정 다수에게 빠르게 영상이 전파되는 특성 때문에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와 사회적 고립에 시달린다"며 "온라인 공간에서 흔적을 지우는 '민간 사이버장의사'를 이용하려 해도 월 200만∼300만원에 이르는 비용 때문에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시가 지원한 81건의 유형 중에는 영상 유포가 25건으로 31%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사이버 공간에서 성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를 뜻하는 '사이버 불링'이 13건(16%)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이어 유포 협박 12건(15%)·불법 도촬(몰래 촬영) 11건(14%)·유포 불안 10건(12%)·사진 유포 5건(6%)·사진 합성 2건(2%) 등이 뒤를 이었다.
시는 "당사자의 동의 아래 촬영된 영상이 추후 협박 도구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며 "몰래 촬영한 영상을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2차 피해도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는 알 수 없는 경우가 25건(31%), 전 애인 22건(27%), 일회성 만남 12건(15%), 채팅 상대 5건(6%), 지인 5건(6%), 남편·애인 3건(4%) 등으로 각각 집계됐다.
특히 촬영물 유포 피해의 경우는 전 애인이 가해자인 경우가 12건으로 40%나 됐다. 일회성 만남 5건(17%), 알 수 없는 경우 4건(14%), 지인 1건(3%), 채팅 상대 1건(3%) 등이 뒤를 이었다.
촬영물이 유포된 플랫폼으로는 포르노 사이트가 21건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했으며 SNS 15건(30%), 웹하드 5건(10%), 토렌트 3건(6%), 기타 6건(12%) 등이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