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하키단일팀·한반도기 논란에 남남갈등 폭발…북한의 계획대로?
“北통일전략, 민족공조 부각하고 대내외적 갈등 촉발 시킬수도”
“北통일전략, 민족공조 부각하고 대내외적 갈등 촉발 시킬수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남북선수단의 한반도기 공동입장 및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구성 문제로 남남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외교가는 북한이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민족공조를 부각하고 대내외적 갈등을 촉발시키는 통일전선 전술을 시도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15일 국회에서 열린 평창올림픽 및 국제경기대회 지원특위에서 "개막식에서 남북 선수단의 공동 입장이 합의되면 한반도기를 들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두고 여야는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17일 "한마디로 죽 쒀 개주는 꼴“이라며 ”북핵을 애써 외면하고 자기최면에 빠져 주최국기를 포기하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힐난했다.
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북한이 모든 경기에서 한반도기를 써야 한다고 요구하면 어떻게 될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우리가 어떻게 해야 국제 협조를 더 많이 이끌어내고 국익에 도움이 될 지의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반면에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문화와 스포츠를 통해 정치, 군사적 이슈까지 단계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며 사안에 대한 찬성 입장을 밝혔고,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평창올림픽을 평화 올림픽으로 치루자는 건 여야를 넘어선 국민적 합의 사항”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아울러 통일부는 “평화올림픽 구상의 일부”라며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구성 등에 대한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태다.
이에 대해 반대측에서는 남북 단일팀 구성은 한국 선수의 출전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며, 남북관계의 가시적 성과 도출에 매몰된 정치적 행위라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외교가는 북한과의 공조를 둘러싼 남남갈등 촉발은 ‘반미 자주화’ 및 ‘친북 연공화’를 노리는 북한의 대남 통일전략의 일환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한 관계자는 “국제사회와 다양한 외교적 관계를 맺는 흐름에서 ‘민족공조’의 지나친 부각은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며 “우리 측의 대북 지원이 민족정신에 따른 것이라는 북한의 선전논리로 활용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